본문 바로가기
2010.08.19 17:03

한식 요리 띄어쓰기

조회 수 14240 추천 수 2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식 요리 띄어쓰기

김치.비빔밥 등 한류 바람을 타고 세계 속으로 파고든 한식 요리는 최고의 건강식품으로 그 진가를 인정받고 있다. 한식은 기본이 되는 밥.국.김치 외에 조리 방법에 따라 각종 무침.구이.볶음.찜.튀김.조림.찌개.전골.전 등 그 종류도 다양하다. '쌀밥.미역국.배추김치/ 시금치무침.생선구이.야채볶음.갈비찜.새우튀김.갈치조림/ 김치찌개.버섯전골.호박전' 등 그 재료가 조리법 앞에 붙어 요리 이름이 된다. 요리 이름 뒤에 붙는 조리법은 독립적인 한 단어다. 그러므로 띄어쓰기의 기본 원칙에 따르면 요리 재료들과 조리법은 띄어 써야 한다. 그러나 음식 이름이 될 때는 대부분 붙여 쓴다. 국어사전에 조리법 중 무침.구이.볶음.찜.튀김.조림의 경우 음식을 뜻할 때는 붙여 쓰라고 돼 있지만, 국.찌개.전골.전 등에는 이러한 언급이 없다. 이 경우 사전에 없는 단어는 띄어 써야 하나, 붙여 써야 하나? 예를 들면 소고기로 끓인 국을 '쇠고깃국/ 쇠고기 국' 중 어떤 표기가 옳은가? 또 사전에 한 단어로 돼 있지 않은 '야채 찌개, 김치 전골, 버섯 전, 쇠고기 산적, 김치 부침개, 오징어 데침, 두부 지짐이' 등은 띄어쓰기를 어떻게 해야 하나? 국어사전에서 요리에 관한 통일된 띄어쓰기 원칙이 아쉽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5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08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951
3304 온실과 야생, 학교, 의미의 반사 風文 2022.09.01 1418
3303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421
3302 그림과 말, 어이, 택배! 風文 2022.09.16 1422
3301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423
3300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424
3299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425
3298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426
3297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風文 2022.07.06 1427
3296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427
3295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風文 2022.02.24 1428
3294 동무 생각, 마실 외교 風文 2022.06.14 1430
3293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430
3292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431
3291 말의 이중성, 하나 마나 한 말 風文 2022.07.25 1433
3290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434
3289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435
3288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436
3287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437
3286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437
3285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437
3284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437
3283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4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