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627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나를 버리고 가시는 임은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는 가사의 '아리랑'은 우리 민족의 혼이 담긴 전래 민요다. 여기에 나오는 '10리'는 몇 ㎞일까? 옛날 학교나 장터 등 보통 5리, 10리는 그냥 걸어다녔다. 그 거리를 생각하면 10리는 약 4㎞가 맞다. '10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는 얼마 못 가서 발병 난다는 뜻으로, 10리가 40㎞라면 논리적으로도 맞지 않는다. 그러나 수첩이나 인터넷의 도량형환산표에는 1리가 약 4㎞(10리는 40㎞)라고 나와 있다. 정부 부서에 문의했더니 이게 맞다고 한다. 리(里)는 척관법의 하나다. 척관법은 길이의 기본단위로 자 또는 척(尺), 무게의 기본단위로 관(貫)을 쓰는 것이다. 시대마다 기준이 달라 조금씩 차이가 나지만 비슷했다. 1902년에는 미터법과 일본의 도량형 제도로 개정되면서 일본의 곡척(曲尺)이 척도의 기본이 됐다. 이때도 큰 차이 없이 10리는 약 4㎞다. 1961년에야 국제기준에 따라 새 미터법을 채택하게 된다. 하지만 1리가 약 3.9㎞로 정해짐으로써 10리는 약 40㎞가 된다. 이전과 열 배 차이가 난다. 속사정은 알 수 없지만 '10리=약 40km'는 문제가 있다. 사전에도 아직 1리는 약 0.4km라고 돼 있다. 10리를 4㎞로 보는 게 옳다. 그래야 '아리랑'의 '십리', '삼천리 금수강산'의 '삼천리'가 성립한다. 이제 '리'는 쓸 필요가 없으므로 문제없다고 하지만, 어디 그런가. '아리랑'과 마찬가지로 '리'에도 우리의 정서가 배어 있는 게 아닌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68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2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172
3194 ‘이’와 ‘히’ 風文 2023.05.26 1382
3193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383
3192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384
3191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385
3190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385
3189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386
3188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392
3187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396
3186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397
3185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397
3184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398
3183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399
3182 ‘~스런’ 風文 2023.12.29 1400
3181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401
3180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402
3179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404
3178 지슬 風文 2020.04.29 1406
3177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407
3176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408
3175 1도 없다, 황교안의 거짓말? 風文 2022.07.17 1409
3174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410
3173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4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