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5723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밥을 하기 위해 쌀을 씻어서 솥에 펴 넣는 일을 두고 흔히 쌀을 '앉히다'라고 잘못 쓰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경우는 '안치다'를 써야 하는데 소리가 비슷한 까닭에 착각하여 '앉히다'를 사용하는 것이다. '앉히다'는 '앉게 하다'라는 뜻으로 '아이를 무릎에 앉히다' '학생을 의자에 앉혔다' '그는 딸을 앞에 앉혀 놓고 잘못을 타일렀다'처럼 쓴다. 한편 '안치다'는 '밥·떡·구이·찌개 따위를 만들기 위해 그 재료를 솥이나 냄비 따위에 넣다'라는 뜻이다.

음식과 관련해 또 가끔 잘못 쓰는 것이 '묻히다'와 '무치다'이다. 인절미를 만드는 걸 보면 찹쌀을 시루에 쪄서 베 보자기에 쏟아 부은 다음 잘 싸서 대충 으깬다. 그 다음 보자기를 벗기고 안에 든 찹쌀 뭉치를 떡메로 치게 된다. 그 후 잘 찧어진 뭉치를 손에 물을 발라 가며 가늘고 납작하게 만들어 썬 후 고물을 묻힌다. 이때의 '묻히다'는 '묻다'의 사동사다. 즉 '묻게 한다'는 뜻이다. 인절미의 경우에는 콩가루나 팥고물 등을 떡에 묻게 하는 것이므로 '묻히다'로 쓰는 게 맞다.

그럼 '무치다'는 어떤 때 쓸까? 무치다는 '나물 따위에 갖은 양념을 넣고 골고루 한데 뒤섞다'라는 뜻이다. '열무를 된장에 무치다' '콩나물 무침'처럼 쓴다. 그러므로 '제사 준비를 위해 전을 부치고 떡을 만들고 나물을 묻혔다.' '등산 중 점심시간에 먹은 생나물 묻힘과 참치 찌개는 일품이었다' 등에 나오는 '묻혔다'는 '무쳤다'로, '묻힘'은 '무침'으로 고쳐야 제대로 뜻이 통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01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64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443
3260 까치발 風文 2023.11.20 1520
3259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522
3258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522
3257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524
3256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525
3255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526
3254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527
3253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530
3252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531
3251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535
3250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536
3249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537
3248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537
3247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542
3246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545
3245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546
3244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546
3243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547
3242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550
3241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553
3240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554
3239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5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