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31 16:26

학여울

조회 수 10563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학여울

'당신은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이란 노랫말에서 느껴지는 것처럼 한 사람의 따뜻한 관심은 사회의 활력소로 작용합니다. 매미 소리에 녹음이 짙어갈 무렵 새 우리말 바루기'납량하는 사람들'(22회·8월 3일자)을 보고 50대 중반의 독자께서 관심을 가지고 질문하셨습니다. '납량→남냥''납양→나'의 발음에 더해 서울 지하철 역'학여울'의 발음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언뜻 보면'학여울'은 '납양→나'처럼 '하겨울'로 발음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러나 표준어 규정에 '합성어 및 접두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 음절이'이·야·여·요·유'인 경우에는'ㄴ'소리를 첨가하여 [니·냐·녀·뇨·뉴]로 발음한다'가 있습니다. 이 규정에 따르면 받침이 'ㄱ'인 말과 '이, 여'로 시작하는 말이 만나면 받침 'ㄱ'은 'ㅇ'으로 바뀌고 뒤 음절의 '이, 여'는 '니, 녀'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색연필[생년필], 늑막염[늑망념], 막일[망닐] 등이 그런 예입니다. 이는 물론 합성어나 접두파생어일 때만 일어나는 현상이지요. '합성어'란 둘 이상의 실질 형태소(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가 결합해 하나의 단어가 된 말입니다. '집안(집+안)' '돌다리(돌+다리)'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학여울'도 '학(鶴)'과'여울'의 합성어입니다. 이 때문에 위의 발음 규정에 따라'학여울'에'ㄴ'음이 첨가돼'학녀울'이 된 뒤, 여기에서 자음동화가 일어나'항녀울'이 되는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30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8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856
3260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317
3259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320
3258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320
3257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320
3256 김 여사 風文 2023.05.31 1321
3255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322
3254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322
3253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323
3252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323
3251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324
3250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325
3249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325
3248 순직 風文 2022.02.01 1326
3247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326
3246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327
3245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329
3244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331
3243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332
3242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334
3241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334
3240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336
3239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3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