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30 15:48

~되겠, ~되세

조회 수 6564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되겠, ~되세

'구름 조금 끼는 맑은 날씨가 되겠고, 비 올 확률은 10%가 되겠습니다. 낮 최고 기온은 25도가 되겠으며, 아침·저녁으로는 선선한 날씨가 되겠습니다'에서처럼 '~되다(되겠다, 되세요)' 형태를 마구 쓰는 경향이 있다. '구름 조금 끼는 맑은 날씨를 보이겠고, 비 올 확률은 10%입니다. 낮 최고 기온은 25도이며, 아침·저녁으로는 선선하겠습니다'가 적절한 표현이다. '정답은 3번이 되겠습니다' '총 사업비는 4억원이 되겠습니다' '추석과 한가위는 같은 뜻이 되겠습니다'에서는 '~이다'가 어울리는 자리에 '~되겠다'를 쓴 경우다. '3번입니다' '4억원입니다' 등으로 표현해야 한다.

'술·담배를 줄여야 되고, 기름진 음식을 피해야 된다' '어떻게 해야 될지 몰라 긴장됐다'에서는 '~하다'가 어울리는 자리에 '~되다'를 쓴 경우로, '줄여야 하고' '피해야 한다' '해야 할지' '긴장했다'가 자연스럽다. '좋은 여행 되세요' '좋은 식사 되세요'는 누가 봐도 영어식 표현이다. '부자 되세요'는 나보고 부자가 되라는 소리(나=부자)이므로 말이 되지만, 이들은 뜻이 통하지 않는다. '여행 잘 다녀오세요' '맛있게 드세요'가 적당하다. 한가위가 다가왔다. '가난한 집 제삿날 돌아오듯'이라는 속담처럼 올해는 어쩐지 마냥 즐겁지마는 않지만, 그래도 그 의미가 변할 수는 없다. '즐거운 추석[명절] 되세요' '즐거운 고향길 되세요' 등의 문구가 곧 등장할 것이다.

우리의 명절날 이왕이면 우리식 표현대로 '추석[명절] 잘(즐겁게) 보내세요' '고향길 잘 다녀오세요'로 하는 게 좋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92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38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328
3348 헬스 다이어트 바람의종 2009.04.14 7928
3347 헤어진 옷 바람의종 2012.05.16 11075
3346 헤로인 / 슈퍼세이브 風文 2020.06.03 1631
3345 헤라시보리 바람의종 2012.09.21 17474
3344 헛이름 바람의종 2008.01.08 10662
3343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403
3342 험담 바람의종 2009.04.30 6688
3341 허풍선이 바람의종 2007.04.25 7864
3340 허접쓰레기/허섭스레기 바람의종 2008.09.20 9206
3339 허버지게 바람의종 2009.08.03 8540
3338 허발 바람의종 2010.04.25 11042
3337 허망헙디다 바람의종 2009.03.14 6645
3336 허리를 곧게 피다 바람의종 2012.05.03 11673
3335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243
3334 행여 바람의종 2008.03.28 7033
3333 행랑, 행낭 바람의종 2010.05.06 17509
3332 행길 바람의종 2007.04.25 11279
3331 행각 바람의종 2007.09.21 8173
3330 햇쌀, 햅쌀, 해쌀 바람의종 2009.02.19 14140
3329 햇빛은 눈부시고,햇볕은 뜨겁다 바람의종 2010.03.10 10284
3328 햇빛, 햇볕 바람의종 2008.07.24 8540
3327 햇볕, 햇빛, 햇살, 햇발 바람의종 2009.07.18 95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