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30 15:48

~되겠, ~되세

조회 수 6699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되겠, ~되세

'구름 조금 끼는 맑은 날씨가 되겠고, 비 올 확률은 10%가 되겠습니다. 낮 최고 기온은 25도가 되겠으며, 아침·저녁으로는 선선한 날씨가 되겠습니다'에서처럼 '~되다(되겠다, 되세요)' 형태를 마구 쓰는 경향이 있다. '구름 조금 끼는 맑은 날씨를 보이겠고, 비 올 확률은 10%입니다. 낮 최고 기온은 25도이며, 아침·저녁으로는 선선하겠습니다'가 적절한 표현이다. '정답은 3번이 되겠습니다' '총 사업비는 4억원이 되겠습니다' '추석과 한가위는 같은 뜻이 되겠습니다'에서는 '~이다'가 어울리는 자리에 '~되겠다'를 쓴 경우다. '3번입니다' '4억원입니다' 등으로 표현해야 한다.

'술·담배를 줄여야 되고, 기름진 음식을 피해야 된다' '어떻게 해야 될지 몰라 긴장됐다'에서는 '~하다'가 어울리는 자리에 '~되다'를 쓴 경우로, '줄여야 하고' '피해야 한다' '해야 할지' '긴장했다'가 자연스럽다. '좋은 여행 되세요' '좋은 식사 되세요'는 누가 봐도 영어식 표현이다. '부자 되세요'는 나보고 부자가 되라는 소리(나=부자)이므로 말이 되지만, 이들은 뜻이 통하지 않는다. '여행 잘 다녀오세요' '맛있게 드세요'가 적당하다. 한가위가 다가왔다. '가난한 집 제삿날 돌아오듯'이라는 속담처럼 올해는 어쩐지 마냥 즐겁지마는 않지만, 그래도 그 의미가 변할 수는 없다. '즐거운 추석[명절] 되세요' '즐거운 고향길 되세요' 등의 문구가 곧 등장할 것이다.

우리의 명절날 이왕이면 우리식 표현대로 '추석[명절] 잘(즐겁게) 보내세요' '고향길 잘 다녀오세요'로 하는 게 좋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85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4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287
3348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641
3347 우리나라 風文 2023.06.21 1776
3346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596
3345 ‘-데’와 ‘-대’, 정확한 표현 風文 2023.06.17 1901
3344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664
3343 말 많은 거짓말쟁이 챗GPT, 침묵의 의미를 알까 風文 2023.06.14 1844
3342 망신 風文 2023.06.09 1973
3341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816
3340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684
3339 김 여사 風文 2023.05.31 1488
3338 프로듀사 風文 2023.05.30 1962
3337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460
3336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701
3335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572
3334 ‘이’와 ‘히’ 風文 2023.05.26 1655
3333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553
3332 단골 風文 2023.05.22 1700
3331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526
3330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535
3329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437
3328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705
3327 너무 風文 2023.04.24 17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