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17 03:21

넉넉지/넉넉치

조회 수 14631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넉넉지/넉넉치

'넉넉지/넉넉치''익숙지/익숙치' 등과 같이 '-하지'가 줄어들 때 어느 것으로 적어야 하는지 어려움을 겪는다. 발음만으론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하지' 앞이 무성음(성대를 진동시키지 않고 내는 소리)이냐, 유성음(목청이 떨려 울리는 소리)이냐에 따라 '-지'와 '-치'로 달라진다. '-하지' 앞이 무성음(ㄱ, ㅂ, ㅅ)일 때는 '하' 전체가 떨어지고 '지'만 남는다. '넉넉지, 익숙지, 거북지, 답답지, 섭섭지, 깨끗지, 떳떳지'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하지' 앞이 유성음(모음이나 ㄴ, ㄹ, ㅁ, ㅇ)일 때는 'ㅏ'만 떨어져 'ㅎ+지=치'가 된다. '흔치, 만만치, 간단치, 적절치, 온당치, 가당치' 등이 그런 예다.

이러한 현상은 '-하다''-하게''-하도록''-하건대'가 줄어들 때도 마찬가지다. '생각하건대 → 생각건대' '흔하다→흔타''다정하다→다정타''간편하게→간편케''이바지하도록→이바지토록' 등으로 나타난다.

순 우리말에서는 대부분 이런 현상이 일어나지만, '한자어+하다'로 이루어진 단어에선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가결하지'나 '결혼하지'를 '가결치' '결혼치'로 줄여 쓰는 사람은 별로 없기 때문이다.

유성음 뒤에서는 자연스럽게 거센소리가 나므로 크게 헷갈리지 않는다. 무성음인 'ㄱ' 'ㅂ' 'ㅅ' 뒤에선 거센소리가 아닌 '지' '게' '다' 등으로 적는다고 기억하면 쉽다. 그래도 어렵거나 헷갈리면 줄이지 말고 아예 '넉넉하지' '익숙하지' 등으로 적으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03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7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561
3216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489
3215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489
3214 순직 風文 2022.02.01 1490
3213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491
3212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491
3211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497
3210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501
3209 ○○노조 風文 2022.12.26 1501
3208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502
3207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505
3206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508
3205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509
3204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509
3203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512
3202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516
3201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517
3200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520
3199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523
3198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524
3197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526
3196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526
3195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5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