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1 03:13

패이다

조회 수 1488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패이다

'빗물은 경사가 완만하거나 땅이 움푹 패여 있는 곳에서는 천천히 흐르고 경사가 급한 곳에서는 빨리 흐른다'에서처럼 '파다'의 피동사인 '파이다'를 '패이다'로 잘못 쓰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파이다'를 줄이면 '패다'가 된다. '파이다'를 활용하면 '파여, 파인, 파였다'가 되고, '패다'를 활용하면 '패어, 팬, 패었다'가 된다. 따라서 위 문장의 '패여'는 '파여'로 하든가, '패어'로 해야 바르다.

'움푹 팬 곳에서는 물이 고이기도 하고 돌이 있으면 돌아서 흐른다'
'마당엔 상당히 깊은 구덩이가 파였다' 등도 바르게 쓰인 예다.

'패이다'와 비슷한 빈도(頻度)로 잘못 사용하는 말에 '채이다'가 있다.

'산마르코 광장은 비둘기들의 천국이었다. 정말로 비둘기가 발에 채였다'에서 '채였다'는 '차다'의 피동사인 '차이다'를 잘못 활용한 것이다. '차이다'를 줄이면 '채다'가 된다. 따라서 앞 문장의 '채였다'는 '차였다'나 '채었다'로 고쳐야 한다.

본딧말은 본딧말대로, 준말은 준말대로 활용된다고 생각하면 쉽다. 사회 구성원 간의 갈등이 첨예해지는 이런 때일수록 더더욱 관용(寬容)을 발휘해야 할 시기가 아닌가 싶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76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35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367
3194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414
3193 ‘~스런’ 風文 2023.12.29 1414
3192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415
3191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417
3190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421
3189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423
3188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425
3187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427
3186 ‘이’와 ‘히’ 風文 2023.05.26 1427
3185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431
3184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432
3183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432
3182 지슬 風文 2020.04.29 1433
3181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433
3180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434
3179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435
3178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435
3177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435
3176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438
3175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440
3174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441
3173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4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