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2 01:18

'돋구다'와 '돋우다'

조회 수 9668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돋구다'와 '돋우다'

'화(火)는 독(毒)입니다. 화는 여러분을 태우는 불길입니다. 화에 휩싸이면 이성을 잃습니다. 화는 여러분의 눈을 멀게 하지만 연민은 여러분을 현명하게 만듭니다.' 베트남 출신의 반전평화운동가 틱낫한 스님은 화를 자꾸 돋우지 말고 잘 다스리는 것이야말로 마음의 평화를 얻는 길이라고 말한다.

'팔순의 노모께선 햇볕이 잘 드는 소파에 앉아 손자가 읽었던 동화책을 하루 종일 읽으셨다. 안경을 닦아 달라고 자주 말씀하시는 걸 보니 노모의 안경 도수를 돋구어 드려야겠다….'

'돋우다'를 써야 할 자리에 '돋구다'를 쓰는 경우를 많이 본다.

'돋구다'는 위에서 보듯 '안경의 도수 따위를 더 높게 하다'라는 한 가지 의미밖에 없다. 반면 '돋우다'는 '기분이나 흥미·의욕·입맛 등을 더 높아지게 하다' 또는 '수준이나 정도를 더 높이다'를 의미한다.

'명절 전날 전(煎)을 부치는 냄새는 단순히 식욕을 돋우는 것이 아니라 고향의 정을 돋운다', '나는 등을 바라본다. 눈이 아프다. 이런 밤엔 돋우고 낮추고 할 수 있어 귀여운 동물처럼 애무할 수 있는 남폿불이었으면'(이태준의 '고독' 중에서)처럼 쓰인다.

'안경의 도수를 높이다'에만 '돋구다'를 쓰고 그 외에는 '돋우다'를 쓰면 된다고 생각하면 쉽다. 시기와 질투, 이기심으로 가득한 마음속을 들여다보는 돋보기의 도수는 돋구면 돋굴수록 좋지만, 화는 돋우면 돋울수록 몸에 해롭다는 것을 기억하자.

최성우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10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62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617
3414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524
3413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524
3412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1568
3411 헷갈리는 맞춤법 風文 2024.01.09 1631
3410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273
3409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295
3408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226
3407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274
3406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294
3405 내일러 風文 2024.01.03 1178
3404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139
3403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171
3402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235
3401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117
3400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231
3399 ‘~스런’ 風文 2023.12.29 1277
3398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195
3397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314
3396 '-시키다’ 風文 2023.12.22 1162
3395 여보세요? 風文 2023.12.22 1042
3394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137
3393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10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