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2 01:18

'돋구다'와 '돋우다'

조회 수 9669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돋구다'와 '돋우다'

'화(火)는 독(毒)입니다. 화는 여러분을 태우는 불길입니다. 화에 휩싸이면 이성을 잃습니다. 화는 여러분의 눈을 멀게 하지만 연민은 여러분을 현명하게 만듭니다.' 베트남 출신의 반전평화운동가 틱낫한 스님은 화를 자꾸 돋우지 말고 잘 다스리는 것이야말로 마음의 평화를 얻는 길이라고 말한다.

'팔순의 노모께선 햇볕이 잘 드는 소파에 앉아 손자가 읽었던 동화책을 하루 종일 읽으셨다. 안경을 닦아 달라고 자주 말씀하시는 걸 보니 노모의 안경 도수를 돋구어 드려야겠다….'

'돋우다'를 써야 할 자리에 '돋구다'를 쓰는 경우를 많이 본다.

'돋구다'는 위에서 보듯 '안경의 도수 따위를 더 높게 하다'라는 한 가지 의미밖에 없다. 반면 '돋우다'는 '기분이나 흥미·의욕·입맛 등을 더 높아지게 하다' 또는 '수준이나 정도를 더 높이다'를 의미한다.

'명절 전날 전(煎)을 부치는 냄새는 단순히 식욕을 돋우는 것이 아니라 고향의 정을 돋운다', '나는 등을 바라본다. 눈이 아프다. 이런 밤엔 돋우고 낮추고 할 수 있어 귀여운 동물처럼 애무할 수 있는 남폿불이었으면'(이태준의 '고독' 중에서)처럼 쓰인다.

'안경의 도수를 높이다'에만 '돋구다'를 쓰고 그 외에는 '돋우다'를 쓰면 된다고 생각하면 쉽다. 시기와 질투, 이기심으로 가득한 마음속을 들여다보는 돋보기의 도수는 돋구면 돋굴수록 좋지만, 화는 돋우면 돋울수록 몸에 해롭다는 것을 기억하자.

최성우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4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9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930
3414 단추를 꿰다, 끼우다, 채우다 바람의종 2010.05.31 27570
3413 본때없다, 본데없다, 본떼없다, 본대없다 바람의종 2010.10.18 27044
3412 부화가 치밀다, 부아가 치밀다 / 화병, 홧병 바람의종 2010.05.08 26791
3411 자처하다, 자청하다 바람의종 2012.12.04 26179
3410 한글 맞춤법 강의 - 박기완 윤영환 2006.09.04 26136
3409 자잘못을 가리다 바람의종 2012.12.11 25908
3408 새 학기 단상 윤안젤로 2013.04.19 25900
3407 '받다'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18 25517
3406 모자르다, 모자라다, 모잘라, 모자른, 모잘른 바람의종 2010.06.01 25268
3405 휘거 風文 2014.12.05 24957
3404 차단스 바람의종 2008.02.19 24922
3403 오살할 놈 바람의종 2008.02.29 24548
3402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367
3401 암닭, 암탉 / 닭 벼슬 바람의종 2010.06.16 24346
3400 맞벌이, 외벌이, 홑벌이 바람의종 2012.11.23 24307
3399 온몸이 노근하고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12.12.12 24222
3398 앎, 알음, 만듬/만듦, 베품/베풂 바람의종 2012.01.08 24204
3397 나, 본인, 저 윤안젤로 2013.04.03 24189
3396 레스쿨제라블, 나발질 風文 2014.12.29 24162
3395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2.12.21 24086
3394 박물관은 살아있다 2 바람의종 2012.12.10 23838
3393 "잘"과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27 237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