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13 03:12

"~대" 와 "~데"

조회 수 10041 추천 수 3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대" 와 "~데"

봄이 한창이다. 여기저기 꽃들이 흐드러지게 피었다. 사람들의 가슴에도 봄바람이 살랑거린다. 모처럼의 휴일, 소파에 드러누워 TV만 보는 남편이 아내의 눈에 마뜩할 리 없다.

아내 : '오늘 날씨 정말 좋다. 여의도에 꽃들이 많이 피어서 정말 예쁘대. 우리 거기 놀러 가자.'
남편 : ' (아이. 귀찮아.) 지나다 봤는데 저쪽 마을공원에도 꽃나무들이 많데. 거기나 가지.'

두 사람의 대화 중 '예쁘대'의 '-대'와 '많데'의 '-데'는 의미가 다른데도 구별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대'는 '누가 ∼다고 해'의 뜻이다. 직접 경험한 것이 아니라 들은 얘기를 '누가 그렇다고 말하더라'하고 듣는 이에게 전해주는 것이다. 아내가 여의도의 꽃을 직접 본 것은 아니다. 친구 등에게서 들은 것을 남편에게 전하고 있을 뿐이다.

'-데'는 '(내가 겪어보니까) ∼더라'의 뜻이다. 체험한 일을 듣는 이에게 회상해 말하는 것이다. 남편은 마을공원에서 꽃나무를 본 경험을 아내에게 얘기하고 있다.

위 대화에는 나오지 않지만 '-ㄴ데'가 붙으면 의미가 또 달라진다. 이 어미는 '그 사람 키 정말 큰데' 처럼 듣는 이의 반응을 기대하면서 감탄할 때 사용한다. 같은 문장으로 비교해 보면 더 쉽다.

그 영화 슬프대.(들은 이야기) 그 영화 슬프데.(자신의 경험) 그 영화 슬픈데.(감탄)

김형식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6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15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096
26 헷갈리는 맞춤법 風文 2024.01.09 1563
25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1472
24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443
23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433
22 ‘시월’ ‘오뉴월’ 風文 2024.01.20 1447
21 바람을 피다? 風文 2024.01.20 1352
20 김치 담그셨어요? 風文 2024.02.08 1472
19 금수저 흙수저 風文 2024.02.08 1356
18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287
17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風文 2024.02.17 1291
16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1387
15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1295
14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340
13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443
12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278
11 웃어른/ 윗집/ 위층 風文 2024.03.26 1325
10 갑질 風文 2024.03.27 1420
9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1537
8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478
7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543
6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風文 2024.05.10 444
5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風文 2024.05.10 3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