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13 03:12

"~대" 와 "~데"

조회 수 10326 추천 수 3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대" 와 "~데"

봄이 한창이다. 여기저기 꽃들이 흐드러지게 피었다. 사람들의 가슴에도 봄바람이 살랑거린다. 모처럼의 휴일, 소파에 드러누워 TV만 보는 남편이 아내의 눈에 마뜩할 리 없다.

아내 : '오늘 날씨 정말 좋다. 여의도에 꽃들이 많이 피어서 정말 예쁘대. 우리 거기 놀러 가자.'
남편 : ' (아이. 귀찮아.) 지나다 봤는데 저쪽 마을공원에도 꽃나무들이 많데. 거기나 가지.'

두 사람의 대화 중 '예쁘대'의 '-대'와 '많데'의 '-데'는 의미가 다른데도 구별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대'는 '누가 ∼다고 해'의 뜻이다. 직접 경험한 것이 아니라 들은 얘기를 '누가 그렇다고 말하더라'하고 듣는 이에게 전해주는 것이다. 아내가 여의도의 꽃을 직접 본 것은 아니다. 친구 등에게서 들은 것을 남편에게 전하고 있을 뿐이다.

'-데'는 '(내가 겪어보니까) ∼더라'의 뜻이다. 체험한 일을 듣는 이에게 회상해 말하는 것이다. 남편은 마을공원에서 꽃나무를 본 경험을 아내에게 얘기하고 있다.

위 대화에는 나오지 않지만 '-ㄴ데'가 붙으면 의미가 또 달라진다. 이 어미는 '그 사람 키 정말 큰데' 처럼 듣는 이의 반응을 기대하면서 감탄할 때 사용한다. 같은 문장으로 비교해 보면 더 쉽다.

그 영화 슬프대.(들은 이야기) 그 영화 슬프데.(자신의 경험) 그 영화 슬픈데.(감탄)

김형식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99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4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384
3436 暴 (포와 폭) 바람의종 2011.11.10 15455
3435 히읗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10.21 14093
3434 히로뽕 바람의종 2008.02.20 13140
3433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2170
3432 희쭈그리 바람의종 2008.02.29 13916
3431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1280
3430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10102
3429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857
3428 흡연을 삼가 주십시오 바람의종 2008.03.08 16356
3427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332
3426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628
3425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612
3424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6405
3423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1910
3422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373
3421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743
3420 휘호 바람의종 2008.11.13 11030
3419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565
3418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2184
3417 휘발성 바람의종 2010.08.07 14955
3416 휘거 風文 2014.12.05 25242
3415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6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