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3 17:08

"-읍니다""-습니다"

조회 수 8545 추천 수 2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읍니다""-습니다"

주변에서 '-읍니다'가 맞는지, '-습니다'가 맞는지 물어 오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우리말 바루기'에 관심을 보여 주시는 독자들의 e-메일에서도 '-읍니다'란 표현이 자주 눈에 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습니다'가 맞다. 1988년 어문 규범을 개정(시행은 89년 3월)하면서 '-읍니다'의 표기를 '-습니다'로 바꿨다. '-읍니다'로 적고 '-슴니다('습니다'의 발음)'로 읽는 불일치를 바로잡기 위해 '습니다'로 바꾼 것이다. 즉 '먹읍니다''있읍니다' 등으로 적던 것을 '먹습니다''있습니다' 등으로 표기하도록 했다.

그러나 명사형 어미 '-음'이 붙어 있는 '있음''없음' 등은 종전과 같이 그대로 표기하므로 '-음''-슴'에 대한 혼란도 생겼다. '-습니다'에 익숙한 학생이나 젊은이들의 경우 '-음'을 '있슴''없슴' 등으로 쓰는 예가 종종 있다.

90년대 이전에 교육을 마친 40대 이상 세대들은 표준어 규정이 바뀌었다는 사실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수십년간 손에 배고 눈에 익은 '-읍니다'를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바뀐 규정을 일반인도 충분히 숙지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계도하는 정부 당국의 노력이 부족했던 데에도 원인이 있다.

명사형은 '-음', 서술형은 '-습니다'라고 기억하면 된다. '-읍니다'는 이제 아련한 추억 속으로 묻어 두어야 한다.

배상복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36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8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865
3433 말차례 바람의종 2008.01.20 488226
3432 표피 바람의종 2012.11.14 77635
3431 펴다와 피다 바람의종 2012.11.27 50774
3430 핼쑥하다, 해쓱하다, 헬쓱하다, 헬쑥하다, 핼슥하다, 헬슥하다 바람의종 2010.11.26 47875
3429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바람의종 2012.11.06 40664
3428 홰를 치다 바람의종 2008.02.01 39735
3427 미소를 / 활기를 / 운을 띄우다 바람의종 2012.12.12 38006
3426 지도 편달 바람의종 2007.12.22 35811
3425 퀘퀘하다, 퀴퀴하다, 쾌쾌하다 바람의종 2012.05.09 34193
3424 귀를 기울이다 / 술잔을 기우리다 바람의종 2012.08.14 32837
3423 일찌기, 일찍이 / 더우기, 더욱이 바람의종 2012.09.26 31431
3422 양수겹장 / 양수겸장 바람의종 2012.07.25 30489
3421 감질맛, 감칠맛 바람의종 2012.12.24 30325
3420 이었다, 이였다 바람의종 2012.10.08 30103
3419 함바집, 노가다 바람의종 2012.11.28 29240
3418 CCTV 윤안젤로 2013.05.13 27968
3417 널브러져/널부러져/너브러져/너부러져 바람의종 2012.09.12 27938
3416 상서롭다/상스럽다 바람의종 2009.03.17 27859
3415 연도 / 년도 바람의종 2009.04.14 278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