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7 05:20

하늘말라리아?

조회 수 8990 추천 수 2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하늘말라리아?

'하늘말나리'는 나리의 한 종류다. 보통 나리꽃은 옆이나 아래를 보고 피는데 '하늘말나리'는 반점 찍힌 붉은 색 꽃이 하늘을 보고 핀다. 그래서 꼿꼿해 보인다. 이 꽃처럼 어려움 속에서도 꿋꿋이 살아가는 아이들을 그린 『너도 하늘말나리야』라는 동화가 있다. 어떤 분이 이 동화를 소개하는 글을 쓰면서 '너도 하늘말라리아'라고 적었다. '말라리아'는 며칠 간격을 두고 아팠다 안 아팠다 해서 도둑놈병이라고도 불리는 질환이다. 예쁜 제 이름을 고약한 병 이름으로 바꿔놓았으니 하늘말나리가 알았다면 기함을 했을 일이다.

위의 사례는 단순한 실수지만 이와 비슷하게 발음에 이끌려 잘못 사용하는 단어들이 있다. '눈 속에 개나리가 피다니 희안하다' '누가 먼저 제비를 뽑을까. 복골복이니까 너부터 해' 와 같이 쓰는 것이 그 예다. '희안하다' 는 '희한하다'로, '복골복'은 '복불복'으로 써야 바르다. 한자어 '희한(稀罕)' 은 드물다는 뜻이다. 거기에서 발전해 신기하다는 의미도 있다. 복불복(福不福)은 똑같은 환경에서 운에 따라 복을 받는 사람도 있고 받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는 뜻이다.

기초가 단단하면 그 위의 건물도 튼튼하다. 말이란 것도 이와 비슷하다. 평소에 단어의 근원을 잘 살펴보는 습관을 들이자.

김형식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0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68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391
3260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569
3259 내일러 風文 2024.01.03 1569
3258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571
3257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572
3256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574
3255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574
3254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580
3253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581
3252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581
3251 방방곡곡 / 명량 風文 2020.06.04 1582
3250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582
3249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582
3248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583
3247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583
3246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586
3245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591
3244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592
3243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597
3242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599
3241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600
3240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603
3239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6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