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09.23 00:14

기다 아니다

조회 수 14629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기다 아니다

말이란 줄여서 쓸 때도 있고, 이미 줄어든 말을 쓸 때도 있다. “그것이다, 그것이야!”를 줄인다면 “그것이다, 그거야!” “그거다 그거야!”가 나오고, 나아가 “그기다 그기야~” “기다 기야~”까지 갈 수 있을 터이다. 현재 국어사전 풀이에서는 ‘기다’를 ‘그것이다’가 줄어든 말로 보고 있다. 그렇다면 ‘기다 기야’가 성립하게 되고, 실제 쓰기도 한다. ‘그기다’는 무엇인가? 이는 ‘그+기다’로 나눌 수 있는데, ‘기다’는 ‘것이다’에 해당하므로 ‘기다’는 ‘것이다’가 줄어든 말로도 봐야겠다. ‘이+기다, 저+기다, 조+기다, 요+기다’ 들이 쓰이는데, 이 말들은 더 줄어들지 않는다. 국어사전에서 ‘게’를 ‘것이’의 준말로 다루듯 ‘기’ 역시 ‘것이’의 준말로 다뤄야 할 성싶다. ‘기’는 또한 ‘곳’의 뜻으로 ‘요기·조기·저기·여기·거기’에서 그 제한적인 쓰임을 찾을 수 있다.

  ‘기다 아니다’에서 ‘기다’는 ‘그것이다’란 뜻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쓰임새는 ‘그러하다·그렇다/ 그와 같다/ 맞다’ 쪽에 더 가깝다. 여기서 ‘기다’의 뜻갈래를 ‘그렇다’와 같은 쓰임으로 하나 더 잡을 필요가 생긴다. 그래야 ‘기다’의 현실적 쓰임을 가다듬을 수 있겠다. “기다 아니다 말이 없다”면 달리는 “그렇다 그렇지 않다 ~, 그것이다 그것이 아니다 ~, 있다 없다 ~, 맞다 틀리다 ~” 정도까지 갈 수 있겠다.

흔히 “긍정도 부정도 아니하다, 시인도 부인도 아니하다, 확인도 부인도 아니하다’란 말을 쓴다. 영어 익은말(NCND/neither confirm nor deny, refused to deny or confirm, declined ether to affirm or to deny)을 뒤친 것이다. 정직하게 말하기 곤란할 때, 투명하지 못할 때를 상정하여 나온 표현이긴 하나 무척 식상해진다. 이를 대체할 말로 ‘기다 아니다 ~’를 써봄직하겠다. 물론 여기까지 가지 않아도 이런 말을 비켜갈 간략한 표현은 많다.

△CIA의 고전적인 답변 방식으로 내가 대답하자면, 그런 시설이 존재하는지에 관해선 긍정도 부정도 않겠다 → ~ 그런 시설의 존재 여부를 확인해 줄 수는 없다.
△(핵무기 보유 여부에 대해선) 미국도 몇십년 동안 엔시엔디(NCND) 정책으로 일관했는데, 우리의 기본 입장도 엔시엔디다. → 미국도 몇 십년을 ‘모른다’(NCND)는 정책으로 일관했는데, 우리의 기본 정책도 그렇다.
△홍 의원은 “그건 이야기 할 수 없다”며 당권출마에 대한 말을 회피하면서도 부정도 긍정도 하지 않고 있어, 사실상 당권출마 쪽으로 가닥을 잡은 듯한 모습이다 → ~ 당권 도전에 대한 말을 피하면서도 기다 아니다 확인을 하지 않고 있어 ~.
△지마켓은 상장 추진을 두고 “노 코멘트”라며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는 상태이지만 증권가에서는 하반기 상장 추진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 지마켓 쪽은 하반기 상장 문제를 두고 ‘할말이 없다’며 확인을 하지 않고 있지만 증권가에서는 이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이라크 납치범들이 미국의 사주를 받고 그를 납치했을 가능성에 대해서 그는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았다 → 이라크 납치범들이 미국의 사주를 받고 그를 납치했을 가능성을 두고도 그는 기다 아니다 언급이 없었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0874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7377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2283
    read more
  4. 결제와 결재

    Date2010.03.26 By바람의종 Views14623
    Read More
  5. 번번이 / 번번히

    Date2012.05.07 By바람의종 Views14622
    Read More
  6.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

    Date2009.05.01 By바람의종 Views14603
    Read More
  7. ‘가로뜨다’와 ‘소행’

    Date2010.07.09 By바람의종 Views14602
    Read More
  8. 훈민정음 반포 565돌

    Date2011.11.20 By바람의종 Views14589
    Read More
  9. 넉넉지/넉넉치

    Date2009.03.17 By바람의종 Views14560
    Read More
  10. 뇌살, 뇌쇄 / 다례, 차례 / 금슬, 금술, 금실 / 귀절, 구절

    Date2010.03.24 By바람의종 Views14511
    Read More
  11. 진이 빠지다

    Date2008.01.30 By바람의종 Views14468
    Read More
  12. 어깨 넘어, 어깨너머

    Date2009.08.01 By바람의종 Views14466
    Read More
  13. 널빤지, 널판지, 골판지

    Date2009.09.23 By바람의종 Views14460
    Read More
  14. 괄괄하다

    Date2006.09.29 By風磬 Views14458
    Read More
  15. 함께하다/ 함께 하다, 대신하다/ 대신 하다

    Date2009.03.29 By바람의종 Views14450
    Read More
  16. 담갔다, 담았다, 담그다

    Date2010.11.10 By바람의종 Views14443
    Read More
  17. 할려고? 하려고?

    Date2010.07.25 By바람의종 Views14436
    Read More
  18. 겸연쩍다, 멋쩍다, 맥쩍다

    Date2009.07.25 By바람의종 Views14412
    Read More
  19.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Date2009.11.09 By바람의종 Views14392
    Read More
  20. 옛부터?

    Date2010.03.19 By바람의종 Views14387
    Read More
  21. 하꼬방

    Date2011.11.30 By바람의종 Views14373
    Read More
  22. 오락·문화용어

    Date2010.03.19 By바람의종 Views14371
    Read More
  23. 십상이다

    Date2010.08.11 By바람의종 Views14362
    Read More
  24. 며늘아기, 며늘아가

    Date2010.08.06 By바람의종 Views14359
    Read More
  25. 쇠다와 쉬다

    Date2010.04.17 By바람의종 Views1435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