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6.09.18 11:06

고수레

조회 수 20628 추천 수 13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수레


본뜻 : 옛날 단군 시대에 고시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프로메테우스처럼 그 당시 사람들에게 불을 얻는 방법과 농사짓는 법을 가르쳤다고 한다.  이 때문에 후대 사람들이 농사를 지어서 음식을 해 먹을 때마다 그를 생각하고 '고시네'를 부르며 그에게 음식을 바친 것이 '고수레'의 유래이다. 그것이 '고시레' '고수레' 등으로 널리 쓰이다가 '고수레'가 표준어로 굳어졌다.



바뀐 뜻 : 음식을 먹거나 무당이 푸닥거리를 할 때, 혹은 고사를 지낼 때 귀신에게 먼저 바친다는 뜻으로 음식을 조금 떼어 던지며 외치는 소리다.  주로 떡을 떼어서 던진다거나 술을 뿌리며 외치기도 한다.



  "보기글"


  -고사 지낼 때 시루떡 던지면서 하는 말이 '고시레'가 맞아, '고수레'가 맞아?
  -명색이 산신제를 지낸다면서 고수레를 빠뜨리다니 안될 말이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8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35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332
466 고양이 바람의종 2008.10.11 6555
465 고슬고슬, 가슬가슬 / 찰지다, 차지다 바람의종 2010.06.08 11062
» 고수레 風磬 2006.09.18 20628
463 고소마리 바람의종 2009.03.23 5174
462 고뿔 風磬 2006.09.16 15523
461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風文 2022.08.05 1214
460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16
459 고바위, 만땅, 후까시, 엥꼬, 빠꾸, 오라이, 기스 바람의종 2008.12.06 16494
458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288
457 고무적 바람의종 2007.06.03 7235
456 고명딸 바람의종 2010.08.27 10010
455 고명딸 風磬 2006.09.16 15673
454 고맙습니다 / 김지석 바람의종 2007.05.22 12562
453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877
452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085
451 고래 file 바람의종 2010.01.08 7588
450 고라니 file 바람의종 2009.09.29 6625
449 고도쇠 바람의종 2009.08.03 6538
448 고닥, 고당, 곰만, 금상, 금매 file 바람의종 2010.03.05 10425
447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863
446 고국, 모국, 조국 바람의종 2012.02.01 10667
445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8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