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11.14 13:56

표피

조회 수 77752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표피

겨울에 들어선다는 입동의 날씨를 보고 조상들은 그해 겨울 추위를 예상했다고 한다. ‘입동 날씨가 따뜻하지 않으면 그해 겨울바람이 심하게 분다’며 제주 사람들이 점치는 것처럼 입동이 추우면 그해 겨울이 추울 것으로 내다본 것이다. 그렇다면 올해 입동은 춥지 않았으니 겨울 한파가 들이닥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일까, 기상청 예보도 올겨울에 큰 추위는 없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입동은 겨울나기 준비를 시작하는 때이기도 하다. 겨우내 먹을 김장을 담그고 옷장에서 겨울옷을 꺼내 손질할 시기인 것이다. 백화점을 비롯한 의류매장에는 지난달부터 겨울옷이 걸리기 시작했으니 유행을 따르는 새옷 장만은 이미 시작되었다. 겨울옷 소재로 빠지지 않는 게 가죽이다. 옷 만들 때 쓰는 가죽은 무두질을 한 것이다. 무두질한 염소나 양의 부드러운 가죽은 섀미(chamois)이고, 새끼 양이나 새끼 소 따위의 가죽을 보드랍게 보풀린 가죽은 스웨이드이다.(표준국어대사전) ‘쎄무’나 ‘세무’가 아닌 것이다. 일본어 ‘레자’(レザ-)는 ‘인조가죽’으로 다듬어 쓰는 게 맞다. 일본어 찌꺼기는 ‘골덴’과 ‘가디간’, ‘비로도’에도 남아 있다. 누빈 것처럼 골이 지게 짠 옷감은 코듀로이나 코르덴이고, 앞자락이 트여 단추로 채우게 되어 있는 스웨터는 카디건이다. 크림전쟁 당시 이 옷을 즐겨 입은 영국의 카디건 백작 이름에서 유래한 바로 그 옷이다. 포르투갈어(Velodo)에서 온 말로 우단, 벨벳과 같은 뜻인 일본어 ‘비로도’(ビロ-ド)는 비로드로 써야 반듯한 외래어이다.

옷 태에서 빠질 수 없는 게 무늬이다. ‘호피무늬로 포인트를 주면 멋진 겨울 스타일…’(ㅅ신문), ‘겨울에는 호피 패션…’(ㅍ경제신문)에서 알 수 있듯이 올해는 ‘호피 무늬’가 유행이다. 과연 그럴까. 요즘 눈에 많이 띄는 무늬는 표범의 가죽 같은 점박이 무늬이니 줄무늬인 호랑이의 것이 아니다. 호피 무늬가 아닌 표피(豹皮) 무늬인 것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2863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9394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4371
    read more
  4. 한글 맞춤법 강의 - 박기완

    Date2006.09.04 By윤영환 Views26232
    Read More
  5. 부화가 치밀다, 부아가 치밀다 / 화병, 홧병

    Date2010.05.08 By바람의종 Views26800
    Read More
  6. 본때없다, 본데없다, 본떼없다, 본대없다

    Date2010.10.18 By바람의종 Views27061
    Read More
  7. 단추를 꿰다, 끼우다, 채우다

    Date2010.05.31 By바람의종 Views27618
    Read More
  8. 연도 / 년도

    Date2009.04.14 By바람의종 Views27878
    Read More
  9. 상서롭다/상스럽다

    Date2009.03.17 By바람의종 Views27922
    Read More
  10. 널브러져/널부러져/너브러져/너부러져

    Date2012.09.12 By바람의종 Views28026
    Read More
  11. CCTV

    Date2013.05.13 By윤안젤로 Views28121
    Read More
  12. 함바집, 노가다

    Date2012.11.28 By바람의종 Views29415
    Read More
  13. 이었다, 이였다

    Date2012.10.08 By바람의종 Views30164
    Read More
  14. 감질맛, 감칠맛

    Date2012.12.24 By바람의종 Views30509
    Read More
  15. 양수겹장 / 양수겸장

    Date2012.07.25 By바람의종 Views30570
    Read More
  16. 일찌기, 일찍이 / 더우기, 더욱이

    Date2012.09.26 By바람의종 Views31546
    Read More
  17. 귀를 기울이다 / 술잔을 기우리다

    Date2012.08.14 By바람의종 Views32917
    Read More
  18. 퀘퀘하다, 퀴퀴하다, 쾌쾌하다

    Date2012.05.09 By바람의종 Views34351
    Read More
  19. 지도 편달

    Date2007.12.22 By바람의종 Views35910
    Read More
  20. 미소를 / 활기를 / 운을 띄우다

    Date2012.12.12 By바람의종 Views38110
    Read More
  21. 홰를 치다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39873
    Read More
  22.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Date2012.11.06 By바람의종 Views40817
    Read More
  23. 핼쑥하다, 해쓱하다, 헬쓱하다, 헬쑥하다, 핼슥하다, 헬슥하다

    Date2010.11.26 By바람의종 Views48010
    Read More
  24. 펴다와 피다

    Date2012.11.27 By바람의종 Views5094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