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9.03 19:29

표식/표지, 성력/생력

조회 수 12106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표식/표지, 성력/생력

중고등학교에 다닐 때 한자 시험에는 함정이 있는 문제가 많이 출제되었다. “다음 한자의 독음을 쓰시오”라는 문제에 敗北, 嫌惡, 遊說 등을 내놓았다. 두 가지 이상의 뜻과 음을 가진 한자 또는 본음과 속음이 다른 한자를 문제로 내놓아 헷갈리게 만든 것이다.

“일부는 항공기 표면에 멕시코 경찰 항공기와 같은 청색과 흰색 페인트칠을 하고, 멕시코 정부를 상징하는 표식까지 붙여 위장을 하기도 한다.” 마약조직과 관련한 중앙 일간지 기사의 한 구절이다.

기사 중의 ‘표식’은 한자로 쓰면 ‘標識’으로서 바른 독음은 ‘표지’이다. ‘識’은 ‘알다’는 뜻으로는 ‘식’으로 읽고, ‘적다, 표하다’는 뜻으로는 ‘지’로 읽는다. 그런데 ‘표지’를 ‘표식’으로 쓰거나 발음하는 사람이 많다. ‘표식’을 틀린 말로 계속 놔두는 것이 옳은지 모르겠다. 오늘날 이 말을 한자로 적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러니 그냥 한글 낱말로 받아들여 ‘표지’와 ‘표식’을 모두 허용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그런데 문제가 없지는 않다. ‘표식’을 허용하면 ‘표지판’을 ‘표식판’으로 읽는 것도 허용해야 할 터인데, 좀 지나친 것 같기도 하다. 어느 쪽이 좋겠다고 주장하기가 꺼려진다.

‘인력절감’이라는 뜻의 ‘省力’이라는 말은 일본에서 들여온 말이다. ‘省’이 ‘살피다’는 뜻이 아니고 ‘덜다’는 뜻이므로 ‘생력’으로 읽어야 한다. 사전에도 ‘생력’으로 실려 있다. 그러나 이 말을 가장 많이 쓰는 기업이나 단체에서는 하나같이 ‘성력’으로 쓰고 있다. 번역 오류에 기인되었지만 되돌리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8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8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472
3216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424
3215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424
3214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425
3213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426
3212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427
3211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430
3210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431
3209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431
3208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432
3207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433
3206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433
3205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433
3204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434
3203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435
3202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435
3201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436
3200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437
3199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438
3198 지슬 風文 2020.04.29 1439
3197 ○○노조 風文 2022.12.26 1440
3196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441
3195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4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