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594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빼또칼’과 ‘총대가정’

어렸을 때 연필을 깎기 위하여 칼집이 있는 칼을 주머니에 넣고 다니던 일이 생각난다. 북녘에서는 주머니칼을 ‘빼또칼’이라는 생소한 이름으로 부른다. 문학작품에서는 “외진 데를 찾아서 두 필의 말을 끌고 가는 봉길이는 밋밋하게 비탈진 산언저리에 이르러 맞춤한 새초밭을 찾아냈다. 마른 풀을 뜯어 먹게 말들을 놓아 준 봉길이는 호주머니에서 칼집이 달린 빼또칼을 꺼내들고 새초를 베기 시작하였다. 말먹이 새초를 새로 마련함으로써 자기가 결코 어린애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려는 배심이다.”(<백두산 기슭>,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78년, 9쪽)와 같은 예가 보인다. 이 경우 ‘맞춤한’은 ‘알맞은’의 뜻이고, ‘새초밭’은 ‘풀이 새로 난 풀밭’이라는 뜻이다.

북녘에는 ‘총대가정’이라는 가정이 있다. 이는 “가족 전체 또는 부자나 형제, 남매가 군에 입대하여 복무하는 등 일가족 모두가 총대를 메고 나선 가정”이다. 북녘 신문에는 “이제 머지않아 우리 집의 막내딸도 초소로 떠나게 된다. 그러면 우리 가정도 총대가정으로 된다. 총대가정, 이 영예롭고 성스러운 부름 앞에 언제나 떳떳하게 살고 싶은 것이 자식들을 초소에 내세운 우리 부모들의 심정이다.”(<로동신문> 2002년 3월1일치) 등으로 쓰인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7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33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335
202 초생달, 초승달 바람의종 2010.05.12 15402
201 움추리다 / 움츠리다, 오무리다 / 오므리다, 수구리다 / 수그리다 바람의종 2010.01.23 15413
200 시치미를 떼다 1 바람의종 2010.11.16 15440
199 단박하다, 담박하다 / 담백하다, 담박하다 바람의종 2012.04.23 15466
198 않는, 않은 바람의종 2008.09.29 15513
197 곤죽 바람의종 2010.04.17 15521
196 잎, 잎새, 잎사귀, 이파리 바람의종 2009.10.02 15529
195 여자 팔자 뒤웅박 팔자 바람의종 2008.01.26 15545
194 고뿔 風磬 2006.09.16 15556
193 한번과 한 번 1 바람의종 2010.08.14 15559
192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603
191 똔똔 / 도긴 개긴 바람의종 2012.07.13 15611
190 '꼴'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2.09.19 15618
189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651
188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바람의종 2009.05.01 15673
187 끝발, 끗발 바람의종 2010.03.17 15688
186 유돌이, 유도리 바람의종 2011.12.04 15694
185 고명딸 風磬 2006.09.16 15699
184 빗어 주다, 빗겨 주다 바람의종 2009.10.06 15809
183 쥐어 주다, 쥐여 주다 바람의종 2008.09.23 15849
182 께 / 게 바람의종 2010.08.27 15904
181 알토란 같다 바람의종 2008.01.24 159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