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140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앗다’와 ‘호함지다’

이제 겨울이 지나가고 있다. 이번 겨울에는 눈도 많이 오고 강추위가 계속되어 다른 해보다 좀 색다른 느낌을 가진 사람이 많을 것 같다. 농한기를 맞은 겨울 농촌에서 그 지방 고유의 음식을 마련하여 이웃과 사랑을 나누는 장면이 방송에 자주 나온 것도 아마 유난히 춥고 긴 겨울 탓이 아니었나 싶다. 이때 나온 음식 가운데 하나가 두부와 묵이었다. 우리는 잘 쓰지 않지만 북녘에는 ‘앗다’라는 말이 있다. 이는 “두부나 묵 같은 것을 만들다”의 뜻이다. 문맥에서 예를 들면 “뜻밖에도 김정숙 동지께서는 서도실이와 함께 콩물을 끓이고 계시였다. 어제밤 두부를 앗겠다고 콩을 불쿠시더니 어느새 망에 콩물을 낸 것이다.”(<그리운 조국 산천>, 박유학, 문예출판사, 1985년, 361쪽)와 같이 쓰인다. 남녘말은 ‘불리다’이고 북녘말은 ‘불구다’인데 ‘불쿠다’는 ‘불구다’의 센말이다.

‘호함지다’는 말은 “마음에 흐뭇할 만큼 탐스럽다”의 뜻이다. “앞날의 모든 일을 지금 당장 다는 예상할 수 없지만 큰 포부와 희망을 품고 북만땅을 떠나 여기 백두산 지구까지 일부러 찾아나오신 장군님께서는 백두산 밀영에서 맞게 되신 첫 아침에 푸지고 호함지게 내린 첫눈을 보시던 순간부터 한량없이 마음이 밝고 명랑해지시였다.”(<압록강>,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3년, 41쪽)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4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9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935
3238 하느님, 하나님 바람의종 2010.03.22 9713
3237 하노라고, 하느라고 바람의종 2010.04.13 10871
3236 하냥 file 바람의종 2010.03.23 12442
3235 하꼬방 바람의종 2011.11.30 14400
3234 필자 바람의종 2009.09.24 8365
3233 필요한 사람?/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322
3232 핀과 핀트 바람의종 2008.09.25 8887
3231 피죽새 바람의종 2009.06.12 9553
3230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810
3229 피로연 바람의종 2010.07.09 13079
3228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7.12.23 10172
3227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8.08.27 5636
3226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0.03.07 9412
3225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2.12.21 24113
3224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233
3223 피동문의 범람 바람의종 2010.07.13 9738
3222 피난과 피란 바람의종 2008.04.24 9852
3221 피난, 피란 바람의종 2009.04.13 10236
3220 플래카드 바람의종 2009.07.27 7933
3219 프로듀사 風文 2023.05.30 1698
3218 프로 바람의종 2008.11.22 5894
3217 프레임 설정 風文 2022.02.06 20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