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8095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긴장’과 ‘비난수’

‘긴장’은 우리의 경우에는 “마음을 늦추지 않고 정신을 차리는 것” 또는 “서로의 관계가 악화되어 분쟁이 일어날 듯한 상태”의 뜻으로서 ‘긴장을 풀다’, ‘긴장의 연속’, ‘긴장이 고조되다’ 등으로 쓰인다. 동사로서는 “너무 긴장하지 말고 차분히 해라”, ‘긴장된 순간’ 등 ‘-하다’, ‘-되다’의 형태로 쓰인다. 그런데 북녘에서는 ‘긴장하다’가 주로 형용사로 쓰이면서 “매우 긴요하고 절실하다”의 뜻을 갖는다. “그래서 나도 몇 번 말씀드렸습니다만 지배인 동무는 나라의 철 사정이 긴장한데 3, 4분기 계획까지 하고보자는 생각인 것 같습니다.”(<뜨거운 심장>, 변희근, 문예출판사, 1984, 5쪽)와 같이 쓰인다.

‘비난수’는 북녘 사전에 “미신에서 무당이 굿이나 푸닥거리를 할 때 귀신에게 빌면서 하는 지껄임”으로 풀이되어 있다. 필자가 고등학교 1학년 때 김소월 시 ‘비난수하는 밤’을 읽으면서 ‘비난수’의 뜻을 몰라 애태운 일이 있었는데 이것이 평안도 방언이었으니 모르는 것이 당연했다. “부성례는 가슴이 철렁했다. 도대체 무슨 판국일까? … 그는 무엇에 홀린 것처럼 두 발이 토방에 붙은 채 비난수에 심취되어 가는 강씨를 지켜보기만 했다.”(<그들의 운명>, 현희균, 문예출판사, 1984, 154쪽)와 같은 용례가 있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8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5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165
3326 통틀어 바람의종 2007.03.30 7605
3325 퉁맞다 바람의종 2007.03.30 8432
3324 푼돈 바람의종 2007.03.31 8946
3323 바람의종 2007.03.31 8637
3322 하루살이 바람의종 2007.04.01 9857
3321 하염없다 바람의종 2007.04.01 11233
3320 한눈팔다 바람의종 2007.04.02 12471
3319 한 손 바람의종 2007.04.02 11091
3318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315
3317 한통속 바람의종 2007.04.23 6682
3316 할망구 바람의종 2007.04.24 11451
3315 핫바지 바람의종 2007.04.24 8441
3314 행길 바람의종 2007.04.25 11579
3313 허풍선이 바람의종 2007.04.25 8165
3312 불구하고?/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10612
3311 ‘경우’ 덜쓰기/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7188
3310 관해/대하여/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6170
3309 호래자식(후레자식) 바람의종 2007.04.27 15058
3308 홀몸 바람의종 2007.04.27 9803
3307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3003
3306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775
3305 위하여/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71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