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07 21:20

‘그러지 좀 마라’

조회 수 7962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그러지 좀 마라’

우리말의 용언(풀이씨)에는 본용언과 보조용언이 있다. 동사는 본동사와 조동사로, 형용사는 본형용사와 보조형용사로 나뉜다. 본용언과 보조용언은 문장에서 어떤 경우에도 따로 떨어져 있을 수 없다. 본용언이 먼저 오고 보조용언이 뒤따른다. “가지 마라”는 문장에서 ‘가지’는 본동사이고 ‘마라’는 조동사이다. 이때 ‘가지’와 ‘마라’ 사이에는 어떤 단어도 형태소도 들어갈 수 없다. 그러나 딱 하나의 예외가 있다. 본동사에 조사가 붙는 경우가 있다.

“세월아 가지를 마라”에서 본동사 ‘가지’ 뒤에 붙은 ‘를’이 조사이다. 이때 들어가는 조사는 보조사다. 격조사는 문장 속 낱말의 격(格)을 표시하고, 보조사는 뜻을 더한다. 보조사가 격을 표시하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주된 기능은 뜻을 더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용언과 보조용언 사이의 보조사는 격을 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지를 마라”에서 ‘를’은 목적격 조사가 아니고 ‘가지를’은 당연히 목적어가 아니다.

그런데 근래 들어 이 규칙이 슬슬 깨어지고 있다. “제발 그러지 좀 말았으면 한다” 신문 칼럼에서 따온 구절이다. 본용언과 보조용언 사이에 ‘좀’이라는 부사가 들어가 있다. 규칙대로라면 “제발 좀 그러지 마라”고 해야 할 것이다. 이런 표현은 젊은이들 사이에서 입말로 흔히 쓰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제 글말에까지 침투한 것을 보면 하나의 문장 구조로 자리잡은 듯하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0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61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332
180 한 가닥 하다 바람의종 2009.12.14 10692
179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759
178 한 손 바람의종 2007.04.02 11118
177 한(限) 바람의종 2010.06.01 12102
176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827
175 한거 가 가라! file 바람의종 2009.09.01 6649
174 한계와 한도 바람의종 2011.12.30 8630
173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2029
172 한글 바람의종 2010.07.19 8819
171 한글 맞춤법 강의 - 박기완 윤영환 2006.09.04 26662
170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683
169 한글로 번역한다? 바람의종 2009.12.18 9835
168 한글박물관 / 월식 風文 2020.06.09 1886
167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892
166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742
165 한나절, 반나절, 한겻 바람의종 2008.11.23 10201
164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629
163 한눈팔다 바람의종 2007.04.02 12495
162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827
161 한량 바람의종 2007.09.12 8723
160 한마음 / 한 마음 바람의종 2011.11.27 13267
159 한머사니 먹었수다! 바람의종 2009.09.18 75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