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18 03:11

한머사니 먹었수다!

조회 수 7517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머사니 먹었수다!

‘한머사니’는 표준어 ‘많이’에 대응하는 고장말로, 주로 평안, 함남, 강원도의 고성 이북 지역에서 쓴다. “오늘 낮으는 우리 집 거리굿이 돼서 나가네가 한머사니 와서 나갈 짬이 없수다레.”(<한국구전설화> 평안편) 경상 지역의 ‘한거석~한거’, 전라 지역의 ‘한거시기~한나’, 제주 지역의 ‘하영’과 마찬가지로 ‘한머사니’도 ‘많다’의 의미를 갖는 옛말 ‘하다’와 무관하지 않다.

특히 ‘한거석’과 ‘한거시기’, ‘한머사니’는 모두 형용사 ‘하다’의 관형형 ‘한’과, 이름이 얼른 떠오르지 않거나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무엇인가를 가리키는 대명사 ‘거시기’가 결합되거나 ‘거시기’의 방언형 ‘거석’과 ‘머사니’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말이다. ‘거석’은 ‘거시기’에 대응하는 경상 지역, ‘머사니’는 평안, 함남, 강원 일부 지역의 고장말이다. ‘머사니’는 ‘무엇이가니’가 ‘무엇이가니>머시가니>머사니’와 같이 줄어진 말이다. ‘거시기’는 흔히들 전라 지역의 전형적인 고장말로 알고 있지만 놀랍게도 사전에는 표준어로 올라 있는 말이다.

‘한머사니’의 또 다른 형태는 ‘할메사니’인데, 이는 ‘한머사니’가 소리의 변화를 겪은 것이다. 마치 ‘할머니’의 고장말 ‘할메니~할매니’가 ‘한머니>할머니>할메니~할매니’와 같은 변화를 겪은 것과 같다. “이제야 곪운 거이 터뎄구나, 보구레 고름이 이같이 할메사니 테데 나오디 않했습마.”(위 책)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7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37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089
3282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557
3281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558
3280 ‘짝퉁’ 시인 되기, ‘짝퉁’ 철학자 되기 風文 2022.07.16 1558
3279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560
3278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561
3277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562
3276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6.22 1562
3275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563
3274 김 여사 風文 2023.05.31 1563
3273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563
3272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568
3271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568
3270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569
3269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569
3268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570
3267 온실과 야생, 학교, 의미의 반사 風文 2022.09.01 1571
3266 까치발 風文 2023.11.20 1574
3265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578
3264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580
3263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580
3262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584
3261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5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