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06 10:26

하영 먹어마씀!

조회 수 9405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하영 먹어마씀!

고장말

‘하영’은 표준어 ‘많이’에 대응하는 제주 지역의 고장말이다. 경상 지역의 고장말 ‘한거’와 마찬가지로 ‘하영’은 ‘많다’ 또는 ‘크다’의 의미를 갖는 형용사 ‘하다’의 어근 ‘하-’와 토 ‘-영’이 결합되어 부사로 굳어진 말이다. ‘-영’은 제주말에서 주로 ‘하다(많다)’나 ‘족다(작다)’에 결합되어 부사형을 만드는 토로 표준어 ‘-게’와 대응되는 고장말이다. “사실이 그렇댄 해도 밥 하영 먹는 식모옌 사방팔방에 놈(남)한티 소문내는 벱이 어디 이시니?”(<순이 삼촌> 현기영) “길녜, 하영 잡았구만. 재기재기(빨리빨리) 와서 불추라(불 쬐라).”(<밀물> 강인수)

‘많다’의 의미를 갖는 형용사 ‘하다’는 우리말에서 이미 그 자취를 감추었지만, 제주 지역에서는 여전히 형용사로 사용되고 있다. ‘아래아’(·)가 사라지기 이전 시기에는 형용사 ‘하다’(많다)와 동사 ‘N다’(>하다)가 서로 구분되어 사용되었다. 그러나 ‘아래아’(·)의 소실과 함께 ‘N다’가 ‘하다’로 변하면서 결국 형용사 ‘하다’와 동사 ‘하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1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61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515
3260 한(限) 바람의종 2010.06.01 11992
3259 한 손 바람의종 2007.04.02 10951
3258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431
3257 한 가닥 하다 바람의종 2009.12.14 10569
3256 학을 떼다, 염병, 지랄 바람의종 2010.02.09 19201
3255 학을 떼다 바람의종 2008.02.01 10607
3254 학여울 바람의종 2009.03.31 10600
3253 학부모 / 학부형 바람의종 2010.09.29 14010
3252 하지 말아라, 하지 마라 바람의종 2010.03.16 12437
» 하영 먹어마씀! 바람의종 2009.09.06 9405
3250 하염없다 바람의종 2007.04.01 11074
3249 하여, 하였다 바람의종 2010.01.28 9413
3248 하모, 갯장어, 꼼장어, 아나고, 붕장어 바람의종 2010.07.19 18256
3247 하릴없이, 할 일 없이 바람의종 2012.10.30 13464
3246 하릴없다와 할 일 없다 바람의종 2010.03.08 13431
3245 하룻강아지 / 밥약 風文 2020.05.29 1680
3244 하룻강아지 바람의종 2010.03.22 12196
3243 하루살이 바람의종 2007.04.01 9744
3242 하락세로 치닫다 바람의종 2009.02.05 13295
3241 하더란대두 바람의종 2009.05.30 7271
3240 하늘말라리아? 바람의종 2008.04.27 8872
3239 하느라고, 하노라고 바람의종 2011.12.26 110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