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07 02:52

가드랬수

조회 수 6340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드랬수

고장말

‘-드랬-’은 평안·황해의 ‘-댔-’, 제주의 ‘-어시-’와 마찬가지로 과거를 나타내는 토로서, 주로 평안·황해 쪽에서 쓴다. “넷날에 한 낸(아낙)이 늙두룩 아를 못나서 애타다가 갸우 아들을 하나 났넌데 이놈에 아레 아무것두 않구 먹기만 하는 믹재기드랬다.”(<한국구전설화> 평안편) 과거를 나타내는 ‘-었-’이 앞선 과거를 나타내려면 같은 형태를 겹쳐 쓰지만(-었었/았었-), ‘-드랬-’은 ‘-드랬드랬-’처럼은 쓰지 않는다. ‘-댔-’과 마찬가지로 ‘-었-’을 ‘-드랬-’ 앞에 쓴 ‘-었드랬-’이 앞선 과거를 나타낸다. “넷날에 떡돌이라는 아와 두터비라는 아레 있었드랬넌데 이 아덜 둘이는 여간만 친하딜 안했다.”(위 책) 경기·강원·경북 일부에서는 ‘-었드랬-’이 보인다. “모든 거이 정말 맘이 안 놓였드랬는지 오빠가 가시면서 ….”(<한국구비문학대계> 경기편) “그때에는 호랭이가 쌨드랬어요.”(위 책, 강원편)

‘-드랬-’은 단순히 있었던 일만을 나타낼뿐더러 과거에 어떤 일이 진행되고 있었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잠을 자드랬는데 아덜이 과티는(떠드는) 바람에 못 잤다.”(<조선 방언학 개요> 김병제)

‘-드랬-’과 ‘-었드랬-’의 또다른 형태는 ‘-더랬-’과 ‘-었더랬-’이다. “방금 밥을 먹더랬다.”(<평북방언사전>) “산골짝으루다 집이 띄엄띄엄 있더랬어요.” “떡 글방을 채리고 있었더랬어요.”(<한국구비문학대계> 강원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5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9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931
3194 포퓰리즘 / 특칭화의 문제 風文 2020.07.15 2121
3193 포클레인, 굴삭기 / 굴착기, 삽차 바람의종 2010.05.31 16456
3192 폐하 바람의종 2007.09.09 9938
3191 평어 쓰기, 그 후 / 위협하는 기록 風文 2022.12.07 1869
3190 평등을 향하여 風文 2021.11.02 1617
3189 평가하다, 때문에 바람의종 2008.11.21 7607
3188 편한 마음으로 風文 2021.09.07 925
3187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061
3186 펴다와 피다 바람의종 2012.11.27 50866
3185 펜치 바람의종 2009.04.03 9373
3184 퍼주기 바람의종 2008.12.08 6856
3183 퍼센트포인트 바람의종 2011.11.24 13315
3182 퍼드레기 바람의종 2012.09.28 12823
3181 패이다 바람의종 2008.12.11 14795
3180 패였다, 채였다 바람의종 2009.07.14 9007
3179 패수와 열수 바람의종 2008.04.29 10359
3178 패랭이꽃 바람의종 2008.02.11 8979
3177 팥죽에 새알심 바람의종 2010.11.01 11177
3176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8919
3175 팔염치, 파렴치 / 몰염치, 염치, 렴치 바람의종 2012.10.02 16011
3174 팔색조 바람의종 2009.10.07 7973
3173 파티쉐 바람의종 2009.09.18 102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