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31 12:42

찌찌

조회 수 750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찌찌

외래어

멀리 중동에서 이스라엘군의 가자 침공으로 벌어진 참혹한 전쟁이 휴전 국면에 들어간다고 한다. 세계 곳곳에서 싸움을 멈추라는 목소리가 드높았다. 무엇보다 민간인들이 다치고 죽어가는 모습이 안타까웠을 것이다. 걸음마도 못할 것 같은 갓난아이마저 다쳐 병원에 실려가는 모습을 보면 누구나 그런 마음이 들 터이다.

‘맘마’, ‘쉬’, ‘응가’ 등 말을 막 배우는 젖먹이가 쓰는 말이나 젖먹이에게 어른들이 쓰는 말을 젖먹이말, 곧 유아어(乳兒語)라고 한다. 국어의 유아어에는 언어학적인 연구나 사전적인 기술이 잘 돼 있지 않은 부분이지만, 우선 지역적 차이가 꽤 있어 보인다.

엄마 젖을 일컫는 말에서, 전국에서 ‘찌찌·쭈쭈’ 정도가 발견된다. 서울·경기를 비롯해 강원·경상·충청 쪽은 ‘찌찌’라고 한다. 전라 쪽은 ‘쭈쭈’, 충남은 ‘쭈쭈·찌찌’를 함께 쓴다. ‘찌찌’는 전라도에서 더러운 것을 가리키는 표준어권의 ‘지지’에 해당한다.

전라 쪽 ‘쭈쭈’는 아기가 젖을 빨 때 나는 소리를 본따 생긴 말이라는 느낌이 든다. 그런데 ‘찌찌’는 ‘쭈쭈’와 같은 시늉말로 보이지는 않고, ‘젖’을 가리키는 일본말 ‘지지’(ちち)와 꼴이 비슷하다. 그래선지 ‘찌찌’가 일본에서 온 말로 생각하기 쉬운데, 우리말이 그쪽으로 건너간 것인지, 그쪽 말이 우리에게 넘어온 것인지, 아니면 서로 무관하게 생긴 말인지 확실하지 않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5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2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207
3018 아수라장 바람의종 2007.12.15 7428
3017 야단법석 바람의종 2007.12.15 6525
3016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133
3015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774
3014 오합지졸 바람의종 2007.12.16 10603
3013 언어도단 바람의종 2007.12.16 10331
3012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490
3011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7042
3010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7.12.17 8510
3009 일사불란 바람의종 2007.12.17 8066
3008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7024
3007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561
3006 자화자찬 바람의종 2007.12.18 8611
3005 전광석화 바람의종 2007.12.18 6489
3004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844
3003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199
3002 제왕절개 바람의종 2007.12.20 11466
3001 정정당당 바람의종 2007.12.20 8711
3000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468
2999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606
2998 조강지처 바람의종 2007.12.21 10433
2997 조족지혈 바람의종 2007.12.21 125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