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6 09:30

고객님?

조회 수 5941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객님?

언어예절

어디를 가나 장사판이요, 누구나 하릴없이 장꾼이 된다. 밥집·저자·백화점·지하철·관청, 외밭·딸기밭에서도 ‘고객’이다. 물건을 만들어 팔거나 돈 놓고 돈벌이하는 기업이야 그렇다 치자. 도깨비나 귀신이라도 모셔다 장사를 해야 하고 이문을 남겨야 하니 무슨 말인들 못하랴.

학교도 정부도 자치단체도 기업체 상술을 가져다 쓴 지 오래여서 사람들을 돈으로 본다. 학생도 국민도 주민도 민원인도 이용자도 소비자도 마냥 ‘고객’(顧客)이다. 스스로 물건을 팔고, 학문을 팔고, 정책·서비스를 팔아먹는 기업이요 경영자로 여기니 사람이 온통 장꾼으로 보일밖에. ‘국민 고객, 시민 고객, 주민 고객, 기업 고객, 불량 고객, 현금 고객, 거래처 고객 …같은 우스꽝스런 말이 생기고, 이로써 사람을 갈래짓고 싸잡는다. 이처럼 일사불란하게 통일된 말을 세상에서 찾기 어려울 듯하다.

이렇게 이른 데는 돈 세상의 극단에 이른 점도 있겠고, ‘커스터머’를 ‘손님’ 아닌 ‘고객’이라 가르치고 쓰면서 학술·상업용어인 양 퍼뜨린 까닭도 있다. 고객이란 물건 사는 ‘손님’을 일컫는(지칭) 말이지 부르는(호칭) 말이 아니다. ‘님’을 붙여 ‘고객님!’이라 외치니 고개 돌려 주변을 두리번거리게 한다.

돈이나 거래, 이익과 상관없이 돌아가는 세상이 있다. 그런 점에서 학교·언론·관청은 좀 다르다. 가게나 기업인들 사람들을 거북하게 하는 말을 써서 이로울 일이 무얼까.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78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4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120
466 고양이 바람의종 2008.10.11 6572
465 고슬고슬, 가슬가슬 / 찰지다, 차지다 바람의종 2010.06.08 11077
464 고수레 風磬 2006.09.18 20922
463 고소마리 바람의종 2009.03.23 5211
462 고뿔 風磬 2006.09.16 15818
461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風文 2022.08.05 1495
460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70
459 고바위, 만땅, 후까시, 엥꼬, 빠꾸, 오라이, 기스 바람의종 2008.12.06 16562
458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316
457 고무적 바람의종 2007.06.03 7378
456 고명딸 바람의종 2010.08.27 10033
455 고명딸 風磬 2006.09.16 15968
454 고맙습니다 / 김지석 바람의종 2007.05.22 12708
453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1064
452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201
451 고래 file 바람의종 2010.01.08 7652
450 고라니 file 바람의종 2009.09.29 6670
449 고도쇠 바람의종 2009.08.03 6584
448 고닥, 고당, 곰만, 금상, 금매 file 바람의종 2010.03.05 10486
447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914
446 고국, 모국, 조국 바람의종 2012.02.01 10687
445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90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