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6 09:28

종달새

조회 수 10042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종달새

짐승이름

“내 고향으로 날 보내 주/ 오곡백화가 만발하였고/ 종달새 높이 떠 지저귀는 곳/ 이 늙은 흑인의 본향이로다. ….”(미국 노래) 지금도 고향 들판 어딘가에서 종달새 지저귀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검둥이라는 이유로 한 많은 삶을 살 수밖에 없었던 흑인들의 애환도 이제 옛말이 되어 간다. 미국에서 오바마 같은 흑인 대통령이 나올 정도로 세상이 바뀌었으니.

종달새는 봄철에 보리밭이나 밀밭에서 둥지를 틀고 알을 낳아 새끼를 친다. 다른 짐승들이 해코지를 할 양이면 몹시 울어 이를 경계하며 쫓는다. 때로는 알 주위를 빙빙 돌며 이를 지킨다. 종족 보전의 본능이랄까. 이따금 제 아이도 낳아서 버리는 사람 세상과는 사뭇 다르다. 농사철이 될라치면 울음소리를 들을 수가 없다.

저들은 텃새다. 종달새는 종다리, 더러는 노고지리·종지조(從地鳥)·운작(雲雀)·고천자(告天子)·규천자(叫天子)라고도 한다. 노고지리는 높이 날아 운다는 뜻이며, 종지조는 글자 그대로 들 곧 보리밭 같은 데서 주로 사니까 땅에서 사는 새다. 고천자·규천자는 높이 날아 하늘에 울어 알린다는 뜻이다. 운작은 구름 위에서 울며 나는 참새. 그럼 종달새는 어떠한가? 종달새의 ‘달’도 땅을 이른다. 낱말 겨레를 동아리 지으면 ‘달-닫-닷-다(ㅎ)-따-C’와 같이 된다. 그러니 종달새란 땅에서 살며 때로는 높이 나는 새가 되겠다. 고향 마을 종달새를 잃고 사는 것은 아닌지.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22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79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789
2886 주머니차 바람의종 2007.12.22 7504
2885 주마등 바람의종 2010.04.01 12387
2884 주년, 돌, 회 바람의종 2010.05.31 10781
2883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445
2882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38
2881 죄다, 죄여, 조이다, 조여 바람의종 2010.06.20 19473
2880 좌익 바람의종 2007.08.20 6708
2879 좌우하다와 좌지우지하다 바람의종 2010.11.10 12553
2878 좌우 바람의종 2009.05.12 8049
2877 좋음과 나쁨, 제2외국어 교육 風文 2022.07.08 1612
2876 좋은 하루 되세요 바람의종 2008.08.28 6497
2875 좋은 아침! 바람의종 2008.03.27 11890
2874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365
2873 좋으네요, 좋네요 바람의종 2010.04.19 13435
2872 좋게 말하기 바람의종 2008.06.12 8279
2871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10.02.08 9186
2870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08.06.08 8732
» 종달새 바람의종 2009.05.26 10042
2868 종군위안부 바람의종 2012.05.04 10645
2867 종교 바람의종 2009.09.22 9539
2866 좀체로, 의례적 바람의종 2008.12.15 17061
2865 졸이다, 조리다 바람의종 2008.10.14 68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