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24 05:08

풍개

조회 수 10022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풍개

사람이름

효정 옹주가 애를 낳고 산후증으로 숨지자 중종은 부마인 조의정을 잡아들이라 했다. 옹주의 계집종 ‘풍가이’(豊加伊)를 시앗으로 삼으면서 조의정이 옹주는 종처럼, ‘풍가이’는 옹주처럼 대접했다고 한다. 옹주를 깔보고 소박받게 하였으니 ‘풍가이’를 의금부로 보내 죄를 물으라 하였다. 이 시절 대궐에서 투기가 심했다고 한다. 임금 사위는 시앗을 두지 못하였으며 어길 때는 어미와 함께 곤장을 맞기도 하였다.

‘풍가이’는 ‘풍가·풍개’(豊加·豊介)라고도 하였다. ‘풍개’는 고장말로 자두다. 자두는 ‘오얏’, 고장 따라 ‘옹아’로도 부른다. 사람이름에는 ‘갈마·감·능금·도토리·동백·딜위(찔레)·수영·잣’ 따위 말도 쓰인다. 갈매나무 열매인 ‘갈매’는 짙은 쪽빛을 띠어 검푸른 색을 ‘갈매빛’이라 하며, ‘갈마동·갈마고개·갈매못/갈마무시’처럼 땅이름에도 들어 있다.

‘수영’은 여뀟과 여러해살이풀로, ‘승아/싱아’로도 불리며 ‘수영이·수영대·수영손이’라는 이름에도 쓰였다. ‘잣’이 든 이름에 ‘잣금이·잣녜·잣달이·잣덕이·잣동이·잣산이’도 있다. 이름에 보이는 ‘늣티’는 느티나무인 듯하다.

조선의 왕족은 ‘李’(오얏 이)씨이므로, 대한제국 땐 우표를 ‘풍개’ 꽃으로 꾸몄다. 더위 먹은 입맛 돌리는 데 시큼하고 달콤한 자두, 제격이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87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3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275
246 평어 쓰기, 그 후 / 위협하는 기록 風文 2022.12.07 1816
245 폐하 바람의종 2007.09.09 9919
244 포클레인, 굴삭기 / 굴착기, 삽차 바람의종 2010.05.31 16431
243 포퓰리즘 / 특칭화의 문제 風文 2020.07.15 2066
242 폭발, 폭팔, 폭파시키다 바람의종 2010.02.25 13788
241 폭염 바람의종 2012.07.05 8656
240 폭탄주! 말지 말자. 바람의종 2012.12.17 19104
239 표식(?), 횡경막(?) 바람의종 2008.06.28 8789
238 표식/표지, 성력/생력 바람의종 2010.09.03 12007
237 표준 언어 예절 바람의종 2012.03.27 11468
236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385
235 표준발음, 구명동의 風文 2020.05.08 1671
234 표준어와 방언 바람의종 2010.01.06 9414
233 표지 / 표시 바람의종 2012.07.04 11173
232 표피 바람의종 2012.11.14 77654
231 푸르른 바람의종 2008.08.11 6222
230 푸르름 바람의종 2011.11.10 9105
229 푸른색, 파란색 바람의종 2011.12.23 10507
228 푸석수염 바람의종 2008.05.08 7873
227 푼돈 바람의종 2007.03.31 8720
226 푼수 바람의종 2007.09.10 11467
225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2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