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24 05:08

풍개

조회 수 10006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풍개

사람이름

효정 옹주가 애를 낳고 산후증으로 숨지자 중종은 부마인 조의정을 잡아들이라 했다. 옹주의 계집종 ‘풍가이’(豊加伊)를 시앗으로 삼으면서 조의정이 옹주는 종처럼, ‘풍가이’는 옹주처럼 대접했다고 한다. 옹주를 깔보고 소박받게 하였으니 ‘풍가이’를 의금부로 보내 죄를 물으라 하였다. 이 시절 대궐에서 투기가 심했다고 한다. 임금 사위는 시앗을 두지 못하였으며 어길 때는 어미와 함께 곤장을 맞기도 하였다.

‘풍가이’는 ‘풍가·풍개’(豊加·豊介)라고도 하였다. ‘풍개’는 고장말로 자두다. 자두는 ‘오얏’, 고장 따라 ‘옹아’로도 부른다. 사람이름에는 ‘갈마·감·능금·도토리·동백·딜위(찔레)·수영·잣’ 따위 말도 쓰인다. 갈매나무 열매인 ‘갈매’는 짙은 쪽빛을 띠어 검푸른 색을 ‘갈매빛’이라 하며, ‘갈마동·갈마고개·갈매못/갈마무시’처럼 땅이름에도 들어 있다.

‘수영’은 여뀟과 여러해살이풀로, ‘승아/싱아’로도 불리며 ‘수영이·수영대·수영손이’라는 이름에도 쓰였다. ‘잣’이 든 이름에 ‘잣금이·잣녜·잣달이·잣덕이·잣동이·잣산이’도 있다. 이름에 보이는 ‘늣티’는 느티나무인 듯하다.

조선의 왕족은 ‘李’(오얏 이)씨이므로, 대한제국 땐 우표를 ‘풍개’ 꽃으로 꾸몄다. 더위 먹은 입맛 돌리는 데 시큼하고 달콤한 자두, 제격이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8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32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220
3216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235
3215 1도 없다, 황교안의 거짓말? 風文 2022.07.17 1239
3214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239
3213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239
3212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243
3211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243
3210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244
3209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244
3208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244
3207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1244
3206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246
3205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247
3204 ‘이’와 ‘히’ 風文 2023.05.26 1248
3203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249
3202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249
3201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249
3200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250
3199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250
3198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251
3197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252
3196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253
3195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2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