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7 04:19

코끼리

조회 수 7575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코끼리

짐승이름

몹시 어려운 일을 비겨 “코끼리 바늘구멍에 들어가기”라 이른다. 백제 ‘금동용봉봉래산향로’에도 코끼리가 들어 있다. 현명하며 신중하고 신성함, 힘의 상징으로 코끼리는 우리 문화 속에도 자리잡고 있다.

흰코끼리는 석가의 화신으로도 통하는데, 어머니 마야 부인 꿈에 어금니 여섯 달린 흰코끼리가 부인에게 일렀다. “소자는 다생의 인연으로 부인께 잉태하오니 어여삐 여기소서!” 하면서 옆구리로 들어와 석가를 잉태하게 됐다는 이야기.

공자 제례를 ‘석전대제’라 한다. 이때 코끼리 모양 술항아리를 쓰는데, 이를 상준(象奠)이라 이른다. 힌두교에서는 코끼리가 거북을 밟고 우주를 등에 지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하는데, 거룩한 존재임을 상징한다.

코끼리를 옛말로는 ‘고키리’라 했다.(월인석보) ‘고’는 히읗 종성이 붙은 형태로서, 고ㅎ기리에서 고키리>코끼리로 바뀐다. 그러니까 이는 고(코)와 ‘길’에 ‘이’가 붙어 된 말이다. 말 그대로 ‘코가 긴 짐승’이다. 오늘날에도 고뿔 감기라 하거니와 여기 ‘고’는 고>코의 과정을 겪은 뒤에도 여전히 쓰이고 있다. ‘갈치’가 쓰이지만 동시에 ‘칼치’가 함께 쓰임과 같은 경우다.

한자말이지만, 어느 분야에서 가장 선구적인 사람을 일러 비조(鼻祖)라 한다. 짐승이 어미의 태반에서 가장 먼저 그 모습과 기능이 활성화되는 조직이 코이기에 그렇게 쓴다. 그러니 코가 생명의 상징으로 떠오름 또한 이상할 것이 없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0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6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578
3128 갈기갈기, 갈래갈래,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9.10.28 10702
3127 갈께/갈까 바람의종 2008.09.20 6868
3126 갈대 바람의종 2008.05.12 6578
3125 갈대와 억새 바람의종 2010.07.30 9407
3124 갈두·갈헌 바람의종 2008.08.27 8023
3123 갈등 바람의종 2007.05.29 6240
3122 갈매기 바람의종 2009.05.06 6659
3121 갈매기살, 제비추리, 토시살 바람의종 2008.11.16 8720
3120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396
3119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144
3118 감동·어루동 바람의종 2008.07.04 5817
3117 감로수 바람의종 2007.05.29 7621
3116 감안하다 바람의종 2007.10.12 15134
3115 감장이 바람의종 2008.10.30 6641
3114 감질나다 바람의종 2010.08.03 12760
3113 감질맛, 감칠맛 바람의종 2012.12.24 30522
3112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400
3111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181
3110 갑절과 곱절 바람의종 2010.03.09 9710
3109 갑종 근로소득세 바람의종 2007.05.30 11333
3108 갑질 風文 2024.03.27 1740
3107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59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