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8.27 17:03

갈두·갈헌

조회 수 7952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갈두·갈헌

사람이름

세조 2년(1456년), 단종 복위 운동과 관련하여 앞 못 보는 점바치 나갈두(羅加乙豆)를 국문하였다. 부엉이가 대궐 북쪽에서 우는데 무슨 까닭이냐 봉보부인이 사람을 시켜 물었는데, 상왕(단종)이 오래지 않아 임금 자리로 돌아올 징조라고 대답했다고 하였다.

‘갈두’는 땅이름에도 보인다. 외국 사신들이 천하명승으로 꼽던 서울 서강의 加乙頭(가을두)는 ‘갈두’ 아닌 ‘덜머리’(乫頭里)이며 절두산 성지로 더 알려졌다. 꼭두각시놀음과 봉산탈춤에서 박첨지와 영감의 시앗이 덜머리집이다. 결혼한 여인은 친정 고장 이름을 따 춘천댁·금산댁·공류골네 따위로 불린다. ‘덜머리댁’을 예전엔 덜머리집으로 부른 듯하다. 전남 해남의 葛頭(갈두)는 ‘땅끝마을’로 더 알려졌는데, 현지인에게 물어보니 ‘칡머리’라고도 부른단다.

‘갈헌’이라는 사람에 성종 때의 임갈헌과 숙종 때의 이갈헌, 궁녀 갈헌 등이 있다. <고종실록>을 보면 청나라가 초소를 철수하여 봉화를 올릴 일이 없게 되자 평안도 강가 초소를 거두는데, 그 가운데 짓골과 갈헌골이 있다. 아울러 함경도 정평에 갈헌천이 있다.

사람이름 갈두와 갈헌은 야인이름에도 갈두/갈투, 갈헌/갈한으로 나타난다. 야인 지역에서 한반도에 이르기까지 쓰인 갈두와 갈헌이 정확히 무슨 뜻인지 아직 밝혀진 바 없다. 갈두(碣斗)로 적는 한자말은 ‘이치에 어긋남에도 자기 주장을 끝까지 관철시키려고 무리지어 다투는 것’을 이르는 불교 말이라고 한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12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6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690
3150 통합키로, 참석키로 바람의종 2010.05.08 12538
3149 통틀어 바람의종 2007.03.30 7263
3148 통째/통채 바람의종 2008.09.03 11648
3147 통장을 부르다 바람의종 2008.04.17 11455
3146 통음 바람의종 2012.12.21 21237
3145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238
3144 톨마 file 바람의종 2009.09.21 7506
3143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6855
3142 토씨의 사용 바람의종 2009.05.31 6092
3141 토씨 하나 잘못 쓰면 바람의종 2010.05.06 8365
3140 토를 달다 바람의종 2008.02.01 13754
3139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8001
3138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442
3137 터울 바람의종 2008.11.11 7053
3136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7866
3135 터무니없다 바람의종 2010.04.13 10500
3134 터무니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31 11424
3133 택도 없다. 바람의종 2010.08.15 14575
3132 태풍의 눈 바람의종 2008.01.31 10517
3131 태어나다 바람의종 2012.02.28 9518
3130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526
3129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1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