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8.13 11:05

철쭉

조회 수 8724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철쭉

풀곷이름
 




철쭉이 만발한 때다. 유명한 소백산 철쭉제가 이번 주말에 열리는 것을 비롯하여 철쭉제만도 열 가지 정도는 된다. 그런데 골짝과 높은 산 능선에서 불타듯 피는 것은 실은 산철쭉이다. 철쭉꽃은 진달래나 산철쭉보다 연하다.

‘철쭉’은 ‘척촉’( )에서 온 말이다. 1527년 최세진 <훈몽자회>에도 ‘>>텨’과 같이 변화과정이 실려 있다. 이후 ‘쳐>처축>처쭉>철쭉’ 등의 과정을 거쳤을 터이다.

경북 청송에서는 물가에 피어서 ‘수달래’라 부른다. 경남에서 부르는 ‘연달래’는 진달래에 이어 피어 붙은 이름이라는 견해도 있으나, 진달래보다 색이 연하기에 붙은 이름인 듯하다. 사전에서도 ‘연’(軟)으로 처리하고 있다.

꽃잎을 먹는 진달래를 ‘참꽃’이라 하는 데 반해 꽃잎의 찐득한 액에 독성이 있어 먹지 못하는 철쭉을 ‘개꽃’이라 하니, 그야말로 생활의 반영이다. 영어로는 거꾸로 진달래가 ‘어젤리아’(azalea)인 데 비해 철쭉은 ‘로얄어젤리아’(royal azalea)로 더 높게 평가한다.

<삼국유사>에 나오는, 소를 끌고 가던 노인이 수로부인에게 철쭉꽃을 바쳤다는 때가 요즘과 맞춤하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6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26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253
2996 계피떡 바람의종 2011.11.16 11854
2995 고개를 떨구다 바람의종 2008.11.20 12322
2994 고개인사 바람의종 2008.07.16 7607
2993 고객님? 바람의종 2009.05.26 5893
2992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844
2991 고국, 모국, 조국 바람의종 2012.02.01 10674
2990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863
2989 고닥, 고당, 곰만, 금상, 금매 file 바람의종 2010.03.05 10433
2988 고도쇠 바람의종 2009.08.03 6550
2987 고라니 file 바람의종 2009.09.29 6628
2986 고래 file 바람의종 2010.01.08 7597
2985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093
2984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923
2983 고맙습니다 / 김지석 바람의종 2007.05.22 12570
2982 고명딸 바람의종 2010.08.27 10021
2981 고명딸 風磬 2006.09.16 15694
2980 고무적 바람의종 2007.06.03 7242
2979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295
2978 고바위, 만땅, 후까시, 엥꼬, 빠꾸, 오라이, 기스 바람의종 2008.12.06 16508
2977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32
2976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風文 2022.08.05 1238
2975 고뿔 風磬 2006.09.16 155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