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8.08 06:03

조회 수 5850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짐승이름

말 타면 경마 잡히고 싶다. 사람 욕심이란 끝 간 데를 모르니 삼가야 함을 이른다. 두어 해 전에 몽골 울란바토르에 갈 때 몽골 비행기에 말대가리가 그려져 있어 인상적이었는데, 들판에도 공연장에도 테릴지 국립공원에서도 예외 없이 말이다. 말은 동력의 원천이자 탱크였다.

말을 몽골말에서 모린(morin)이라고 한다. 제주 고장말로는 지금도 ‘모리’라 하는 이가 있음을 보면 몽골과 관련이 깊음을 알 수 있다.

우리말에서 ‘말’로 소리가 나는 말 세 가지가 있다. 사람이 타고 다니는 말(馬), 되로 주고 말로 받는다고 할 적의 말(斗), 입으로 생각과 느낌을 전하는 말(言)이 그렇다. 소리가 같고 뜻은 달라도 옮김과 전달이라는 점에서는 다를 바 없다.

지난 일과 관련지어 보면, 신라시조 혁거세와 날아오르는 흰말, 고구려 주몽과 비루먹은 말, 동부여 부루와 금개구리(금와) 모양의 어린아이, 경주 황남동 고분의 천마도 …들이 드러난 대표적인 말 관련 신화소들이다. 여기 천마는 땅에서 하늘로 날아오르는 하늘과 땅의 만남으로 거룩한 말의 속내를 드러낸다.

달리 윷놀이에서 도·개·걸·윷·모라 할 때 걸(geol)이 지명 대응성 등으로 보아 말을 뜻하는 말이기도 하다. ‘거룩하다’의 ‘거룩’이 말을 뜻하는 ‘걸’에서 갈라져 나온 형태임을 짐작할 수 있다. 삼한 마한(馬韓)의 ‘마’도 말의 신성함과 으뜸감을 이른다. 따라서 말이 접두사가 되어서 ‘크다-거룩하다’로 쓰임을 알 수가 있다. 초인의 말울음 소리에 솜다리는 꽃피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1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7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419
2993 봄날은 온다 윤안젤로 2013.03.27 20033
2992 잔떨림 윤안젤로 2013.03.18 20901
2991 감질맛, 감칠맛 바람의종 2012.12.24 30894
2990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2.12.21 24432
2989 상봉, 조우, 해후 바람의종 2012.12.17 22169
2988 온몸이 노근하고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12.12.12 24403
2987 미소를 / 활기를 / 운을 띄우다 바람의종 2012.12.12 38400
2986 자잘못을 가리다 바람의종 2012.12.11 26083
2985 수뢰 바람의종 2012.12.11 18151
2984 금도(襟度) 바람의종 2012.12.10 17889
2983 달디달다, 다디달다 바람의종 2012.12.05 21595
2982 썰매를 지치다 바람의종 2012.12.05 21762
2981 자처하다, 자청하다 바람의종 2012.12.04 26373
2980 바이러스 바람의종 2012.12.04 17457
2979 수입산? 외국산? 바람의종 2012.12.03 19129
2978 외곬, 외골수 바람의종 2012.12.03 18025
2977 서식지, 군락지, 군집, 자생지 바람의종 2012.11.30 21167
2976 함바집, 노가다 바람의종 2012.11.28 29788
2975 펴다와 피다 바람의종 2012.11.27 513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