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9 16:33

참 이뿌죠잉!

조회 수 6250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참 이뿌죠잉!

고장말탐험

‘-잉’은 주로 전라도 사람들이 말 끝에 붙여 쓰는 말로, 다른 지역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경상도 쪽에서도 비슷한 형태의 ‘이’가 쓰이지만, ‘잉’과는 그 쓰임이나 분포에서 차이가 있다. ‘-잉’은 받침 ‘ㅇ’이 탈락하면서 ‘이’가 콧소리로 실현되기도 한다. “가지 말어라이~.” 최명희 <혼불>이나, 채만식 <탁류>에서도 ‘잉’이 흔하다. “밀지 말어. 자빠지겄네잉.” “문 열어요, 잉? 나두 들어가게 ….”

“끼니 거르지 말고 꼭 챙겨 먹어라잉.” ‘차 조심허고잉.’ 여기서 ‘잉’에는 타관 땅 자녀를 걱정하는 어미 마음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친구 사이 혹은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위협적인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기도 한다. “시기는(시키는) 대로 히라(해라)잉.” “딴소리허믄 재미없을 줄 알아라잉.”

이처럼 ‘-잉’은 마음을 더 간곡하게 혹은 위협적으로 드러낼 뿐만 아니라, 공감해 주기를 바라거나, 공감할 것이라고 예상될 때도 쓴다. “아따, 그 자석 드럽게 싸가지 없는 놈이구만. 그러지잉.” “참, 이뿌죠잉.”

‘-응개, 긍개, 근디’ 등과 함께 ‘-잉’은 전라도말의 한 지표가 되는 말이다. 타관에서 ‘-잉’을 쓰는 사람을 만나면 왠지 반갑고 정겹게 느껴지는 것은 고장말이 주민 사이 유대나 동질감을 확보하는 수단이자 정체성을 나타내는 표지인 까닭이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1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70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390
2996 계피떡 바람의종 2011.11.16 11889
2995 고개를 떨구다 바람의종 2008.11.20 12362
2994 고개인사 바람의종 2008.07.16 7660
2993 고객님? 바람의종 2009.05.26 5946
2992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9029
2991 고국, 모국, 조국 바람의종 2012.02.01 10688
2990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914
2989 고닥, 고당, 곰만, 금상, 금매 file 바람의종 2010.03.05 10491
2988 고도쇠 바람의종 2009.08.03 6589
2987 고라니 file 바람의종 2009.09.29 6676
2986 고래 file 바람의종 2010.01.08 7652
2985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203
2984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1074
2983 고맙습니다 / 김지석 바람의종 2007.05.22 12712
2982 고명딸 바람의종 2010.08.27 10037
2981 고명딸 風磬 2006.09.16 15975
2980 고무적 바람의종 2007.06.03 7383
2979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320
2978 고바위, 만땅, 후까시, 엥꼬, 빠꾸, 오라이, 기스 바람의종 2008.12.06 16566
2977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74
2976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風文 2022.08.05 1508
2975 고뿔 風磬 2006.09.16 158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