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9 16:31

사룀글투

조회 수 6550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룀글투

언어예절

전통적인 몇가지 ‘사룀글투’가 있다. 자손이 단출하나마 음식을 차려 제삿날 옛어른을 그리는 마음을 사뢰고, 드시라고 권하는 글이 축문이다. 언제·어디서·누가·누구에게·무엇을·왜·어떻게(여섯종자)를 한두 마디에 담아 사뢰고 비는 형식이다.

“아무해 아무달 아무날 ○○은 삼가 사뢰나이다. 어느덧 해가 바뀌어 ○○님 가신 날을 다시 맞으니 하늘 같은 가없는 은혜를 잊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포과를 올리오니 드시옵소서!”

모시는 대상이 성주나 산신령이라도 글틀은 비슷하고, 제를 지내는 연유 정도가 다를 뿐이다. 예컨대 뫼에 새로 상석이나 빗돌을 놓을 때 산신께 비는 말이라면 “아무해 아무달 아무날을 맞아 삼가 산신령께 사뢰나이다. 아무개의 봉분이 헐어, 돌과 흙을 더하여 상석을 놓고 손보고자 하오니 놀라지 마시옵고, 이로 말미암아 궂은 일이 일어나지 않게 돌보아 주시옵소서. 이에 몇 가지 음식과 술을 차려 올리오니 드시옵소서!”

틀과 내용이 썩 간략하고 곡진하다. 번거로움을 멀리하고 간략하고 진솔하게 하는 데서 예가 선다. 어떤 글자를 쓰든 사룀글도 여섯 종자가 바탕이 된다. 여기에 베풀어 자세히 하는 말과 바람들을 덧붙이는데, 고사문이나 고유문도 받들고 아뢰는 대상이나 연유를 달리할 뿐 틀과 뜻에서 다를 게 별로 없다. 길이를 조절하여 간곡한 마음을 더하고 덜할 뿐이다. 이런 틀은 전래굿을 비롯해 종교들에서 두루 비슷한데, 일 있을 때마다 써 버릇하고 행하면 한결 마음이 가다듬어진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06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66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374
2996 계피떡 바람의종 2011.11.16 11889
2995 고개를 떨구다 바람의종 2008.11.20 12362
2994 고개인사 바람의종 2008.07.16 7660
2993 고객님? 바람의종 2009.05.26 5946
2992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9027
2991 고국, 모국, 조국 바람의종 2012.02.01 10688
2990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914
2989 고닥, 고당, 곰만, 금상, 금매 file 바람의종 2010.03.05 10491
2988 고도쇠 바람의종 2009.08.03 6589
2987 고라니 file 바람의종 2009.09.29 6676
2986 고래 file 바람의종 2010.01.08 7652
2985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201
2984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1074
2983 고맙습니다 / 김지석 바람의종 2007.05.22 12711
2982 고명딸 바람의종 2010.08.27 10037
2981 고명딸 風磬 2006.09.16 15975
2980 고무적 바람의종 2007.06.03 7383
2979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320
2978 고바위, 만땅, 후까시, 엥꼬, 빠꾸, 오라이, 기스 바람의종 2008.12.06 16566
2977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74
2976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風文 2022.08.05 1508
2975 고뿔 風磬 2006.09.16 158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