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9 09:01

궂긴인사

조회 수 7433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궂긴인사

북녘말

“상주님을 그대루 보여서 쓰겠소. 새루 궂긴인사하고 보입시다.”(홍명희, 림꺽정)

‘궂긴인사’는 상주를 위문하는(조문) 말이다. 이는 홍명희의 <임꺽정>에도 쓰인 말이니 굳이 북녘말이라 할 것은 없겠다. 다만 남녘에서는 ‘궂긴 인사’처럼 띄어서 쓰고, 한 낱말로 보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한 낱말로 보느냐, 두 낱말로 보느냐’는 국어사전에 올랐느냐와 관련이 있다. 국어사전은 보통 하나의 낱말을 올림말(표제어)로 삼는 까닭에 두 낱말은 실리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최근 <겨레말큰사전> 새말 조사 과정을 보면, 남북 모두 같은 소설(임꺽정)을 조사했지만, 북녘에서만 ‘궂긴인사’를 새 낱말로 봤다.

궂긴인사는 ‘궂기다’와 ‘인사’가 합친 말이다. ‘궂기다’는 남북 사전에 두루 실렸지만, 남녘에서 널리 쓰이지는 않는다. <한겨레> 신문에서는 2003년께부터 부음·부고 대신 ‘궂긴소식’을 쓰고 있다. 그 덕에 ‘궂기다’도 꽤 알려져서 쓰이고 있음을 인터넷에서도 볼 수 있다.

‘궂기다’는 ‘돌아가시다’처럼 ‘윗사람이 죽다’를 완곡하게 이르는 뜻과 ‘일에 헤살이 들어 잘 되지 않는다’는 뜻 둘로 쓰인다. 형태만 보면, ‘궂다’에 접미사 ‘-기-’가 붙어서 ‘궂기다’가 된 것으로 여길 수 있지만, 그렇게 보기도 어렵다. ‘궂다’의 뜻이 ‘나쁘다’임을 생각할 때, 관련성이 있기는 하지만 ‘궂기다’의 의미폭이 많이 좁기 때문이다. 헤살은 ‘일을 방해하는 것’이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0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23
444 쟈근아기 바람의종 2008.07.31 7017
443 참 이뿌죠잉! 바람의종 2008.07.29 6194
442 사룀글투 바람의종 2008.07.29 6521
441 바람의종 2008.07.28 6335
440 쥐오줌풀 바람의종 2008.07.28 8396
439 딜위·그믐딘이 바람의종 2008.07.26 7048
438 닭알 바람의종 2008.07.26 7262
437 사룀 바람의종 2008.07.24 7284
436 모량리와 모량부리 바람의종 2008.07.24 6736
435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235
434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477
» 궂긴인사 바람의종 2008.07.19 7433
432 잔돌배기 바람의종 2008.07.19 6846
431 금낭화 바람의종 2008.07.18 6250
430 늦잔이·잠이 바람의종 2008.07.18 5038
429 녹는줄 바람의종 2008.07.18 6172
428 시거리와 시내 바람의종 2008.07.17 6247
427 개구리밥 바람의종 2008.07.17 6057
426 조이·조시 바람의종 2008.07.17 6496
425 고개인사 바람의종 2008.07.16 7609
424 도미진 이야기 바람의종 2008.07.16 7090
423 분홍바늘꽃 바람의종 2008.07.12 63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