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2 03:39

생잡이·생둥이

조회 수 7963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생잡이·생둥이

북녘말

앞가지 곧 접두사 ‘생-’은 여러 뜻으로 쓰인다. ‘생김치·생나물’처럼 음식물 앞에 쓰면 ‘익지 않은 것’, ‘생나무’ 등은 ‘마르지 않은 것’, ‘생가죽·생맥주’ 등은 ‘가공하지 않은 것’의 뜻이다. ‘생부·생모’ 등은 ‘직접적인 혈연관계’, ‘생고생·생트집’ 등은 ‘억지스러움’, ‘생지옥’ 등은 ‘지독한·혹독한’의 뜻이다.

국어사전에서 ‘생-’을 다양한 뜻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생-’을 ‘원래 그대로인 상태’로 보면, 여러 뜻을 아우를 수 있겠다. 음식물이 익지 않았으니 ‘생김치’, 마르지 않았으니 ‘생나무’, 가공하지 않은 상태이니 ‘생가죽’이다. ‘생부’도 ‘법적인 관계 변화와 상관없는 원래의 혈연관계’로 볼 수 있겠다.

북녘에서는 ‘생잡다·생잡이·생둥이’ 등을 쓴다. ‘생잡다’는 두 가지 뜻으로 쓰이는데, 하나는 남녘에서 ‘생트집을 잡다’의 뜻이고, 다른 하나는 ‘생판으로 처음 해 보다’의 뜻이다. “생잡는 버릇”은 앞의 뜻이고, “대패질은 생잡는 일이다”는 뒤의 뜻이다. 북녘말 ‘생잡이’는 ‘생잡다’ 두번째 뜻에서 ‘~ 사람’으로 파생된 말이다. ‘어떤 일을 처음 하게 되어 서투른 사람’을 이른다. ‘생잡이’는 남녘에서 ‘마구잡이’와 같은 말로 쓰이므로 북녘과 차이가 있다.

북녘말 ‘생둥이’는 ‘생김치’처럼 ‘음식물이 채 익지 않은 것’을 말하는데, ‘일이 손에 익지 않아서 서툰 사람’을 일컫기도 한다. 음식물이 먹기 좋게 익는 것과 일이 손에 익는 것이 다른 것 같으면서도 관련이 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8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73
444 쟈근아기 바람의종 2008.07.31 7017
443 참 이뿌죠잉! 바람의종 2008.07.29 6194
442 사룀글투 바람의종 2008.07.29 6521
441 바람의종 2008.07.28 6335
440 쥐오줌풀 바람의종 2008.07.28 8396
439 딜위·그믐딘이 바람의종 2008.07.26 7051
438 닭알 바람의종 2008.07.26 7262
437 사룀 바람의종 2008.07.24 7284
436 모량리와 모량부리 바람의종 2008.07.24 6736
435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235
434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477
433 궂긴인사 바람의종 2008.07.19 7433
432 잔돌배기 바람의종 2008.07.19 6846
431 금낭화 바람의종 2008.07.18 6250
430 늦잔이·잠이 바람의종 2008.07.18 5038
429 녹는줄 바람의종 2008.07.18 6172
428 시거리와 시내 바람의종 2008.07.17 6247
427 개구리밥 바람의종 2008.07.17 6057
426 조이·조시 바람의종 2008.07.17 6496
425 고개인사 바람의종 2008.07.16 7609
424 도미진 이야기 바람의종 2008.07.16 7090
423 분홍바늘꽃 바람의종 2008.07.12 63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