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0 03:56

둔지말 당두둑

조회 수 7286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둔지말 당두둑

땅이름

경기도 동부나 강원 영서지방에서 흔히 찾을 수 있는 ‘둔지말’은 ‘언덕’과 관련이 있는 땅이름이다. 사전에는 ‘둔지’가 올라 있지 않은데, 이와 비슷한 말로 ‘둔덕’이 있다. ‘둔덕’은 ‘두두룩하게 언덕진 곳’이라고 풀이되어 있으며, ‘두두룩하다’는 ‘가운데가 솟아서 불룩하다’는 뜻이다.

<훈몽자회>의 지리 조항에는 언덕을 뜻하는 한자가 여덟 가지나 있다. 그 가운데 ‘두던’으로 풀이한 한자는 구(丘), 원(原:너른 들), 고(皐:물언덕), 부(阜:큰 뭍)이며, ‘두듥’으로 풀이한 한자는 파(坡), 판(阪:둑이나 산비탈), 릉(陵:큰 언덕), 륙(陸:높고 평평한 땅)이다. 이처럼 같은 언덕을 나타내는 말이지만, ‘두던’과 ‘두듥’은 토박이말이나 한자말에서 차이가 있었다.

‘두듥’은 경기지역의 땅이름에 많이 남아 있다. 남양주 수동면의 ‘당-두둑’은 ‘두듥’의 잔재를 뚜렷이 간직하고 있으며, 성남시 수내동 쪽 옛이름에도 ‘벌말’이나 ‘평-두들기’가 나타난다. ‘당두둑’은 ‘당두평’으로 맞옮김되며, ‘평두들기’는 ‘평촌’으로 바뀐다. 비록 ‘두던’이 ‘둔덕’으로 변하는 과정은 쉽게 설명되지 않지만, 대체로 ‘둔덕진 땅’을 ‘둔지’라고 부르는 것을 고려한다면, 두 낱말은 같은 뜻임을 알 수 있다. ‘언덕진 곳의 평평한 땅’을 ‘둔지’라 부르며, 그곳에 작은 저수지가 있을 경우에는 ‘언둔지’라 일컫는다.

사라질 듯한 ‘두듥’이나 ‘두두룩하다’는 형용사의 쓰임을 땅이름에서 찾을 수 있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99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651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1506
440 쥐오줌풀 바람의종 2008.07.28 8342
439 딜위·그믐딘이 바람의종 2008.07.26 6995
438 닭알 바람의종 2008.07.26 7225
437 사룀 바람의종 2008.07.24 7227
436 모량리와 모량부리 바람의종 2008.07.24 6688
435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145
434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130
433 궂긴인사 바람의종 2008.07.19 7387
432 잔돌배기 바람의종 2008.07.19 6816
431 금낭화 바람의종 2008.07.18 6237
430 늦잔이·잠이 바람의종 2008.07.18 4988
429 녹는줄 바람의종 2008.07.18 6135
428 시거리와 시내 바람의종 2008.07.17 6214
427 개구리밥 바람의종 2008.07.17 6004
426 조이·조시 바람의종 2008.07.17 6460
425 고개인사 바람의종 2008.07.16 7555
424 도미진 이야기 바람의종 2008.07.16 7065
423 분홍바늘꽃 바람의종 2008.07.12 6276
422 어린노미·넙덕이 바람의종 2008.07.12 6506
421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7905
420 걱정과 유감 바람의종 2008.07.10 6303
» 둔지말 당두둑 바람의종 2008.07.10 72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