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06 21:39

두런·가라치

조회 수 7270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두런·가라치

사람이름

태조 7년(1398년), 이방번의 종 박두언(朴豆彦)이 무리를 지어 난을 일으키려는데 김성부의 종 가라치(加羅赤)가 끼었다가 이숙번에게 일러바쳤다. 이로 박두언은 목이 달아났고 가라치는 상으로 옷가지와 쌀과 콩 열 섬씩 받았다.


豆彦과 豆乙彦(두을언)이 있는데 둘 다 ‘두런’을 적는다. 두런이란 이름은 사내이름으로 널리 쓰였다. 이와 비슷한 이름에 ‘두란’이 있다. 태조에게 가까운 벗이 있는데 북청에서 태어난 야인으로 ‘이지란’이다. 숨지며 태조에게 다른 나라에 와 죽은즉, 주검을 태워 도로 고향땅에 돌려보내 그곳 풍속을 따르게 해 달라는 말을 남겼다. 이지란의 본디 이름은 ‘퉁 두란터물’이었다. 몽골말로 쌍둥이는 ‘두란’이라 적고 ‘두런’으로 소리 낸다. 표기와 표기된 내용의 이러한 모습은 중세의 사람이름에 두란과 두런이 함께 보이는 현상을 연상케 한다.

조선조에 정2품 이상 되는 벼슬아치는 중요한 공문서를 기름먹인 종이로 만든 곽에 넣고 다녔다. 이를 ‘가라치·거러치’라고 한다. ‘파일’이라는 외래어를 가라치로 바꿔 써도 좋을 듯하다. 가라치를 들고 다니는 사람(종) 또한 ‘가라치’라 불렀다. 종(隸/奴僕)은 훈몽자회에 거러치, 삼국유사에는 皆叱知(갯디)라고 했는데, 둘을 견줘 보면 같은 뜻이긴 하나 서로 이어대기 어렵다. 거지의 다른 말, ‘거러지’는 무슨 (밥)통을 들고 다니는 사람, 가라치/거러치의 비유가 얹혀 쓰이게 된 것일 수도 있다. 赤(붉을 적)은 ‘치’ 또는 ‘적’을 적으며 조선 후기까지 관습이 이어졌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13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73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419
3040 美國 - 米國 / 3M 風文 2020.06.08 1814
3039 찜갈비-갈비찜 / 영란은행 風文 2020.06.07 2179
3038 8월의 크리스마스 / 땅꺼짐 風文 2020.06.06 1766
3037 와이로 / 5678님 風文 2020.06.05 1893
3036 방방곡곡 / 명량 風文 2020.06.04 1601
3035 헤로인 / 슈퍼세이브 風文 2020.06.03 1882
3034 기림비 2 / 오른쪽 風文 2020.06.02 1667
3033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487
3032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519
3031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423
3030 하룻강아지 / 밥약 風文 2020.05.29 1835
3029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618
3028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372
3027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490
3026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388
3025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453
3024 청마 / 고명딸 風文 2020.05.23 1871
3023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646
3022 튀르기예 / 뽁뽁이 風文 2020.05.21 2014
3021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557
3020 되갚음 / 윤석열 風文 2020.05.19 1815
3019 빛깔 이름/ 염지 風文 2020.05.18 187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