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9 05:09

‘앗다’ 쓰임

조회 수 7026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앗다’ 쓰임

북녘말

‘앗다’는 남북에서 대략 다섯 가지 뜻으로 쓰인다. 첫째 ‘빼앗다’는 뜻이다. 이제는 ‘앗다’보다는 ‘빼앗다’가 주로 쓰이는 탓에 ‘앗다’의 쓰임이 좀 줄어들었다. 둘째는 ‘(낟알의) 껍질을 벗기다’의 뜻으로 “절구로 수수를 앗다”와 같이 쓴다. 셋째는 ‘목화의 씨를 빼다’의 뜻으로 “씨아로 목화를 앗다”와 같이 쓴다. ‘씨아’는 목화의 씨를 빼는 기구다. 1번부터 3번까지는 약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껍질을 벗기는 것, 씨를 빼는 것, 무언가를 빼앗는 것’은 무엇이 원래 가지고 있던 것 가운데 일부를 떼어낸다는 공통점이 있다.

‘앗다’의 넷째 뜻은 ‘두부나 묵 같은 것을 만들다’이다. 이는 북녘에서만 쓰인다.

“어제밤 두부를 앗겠다고 콩을 불쿠시더니 어느새 망에 갈아 콩물을 낸 것이다.”(박유학·그리운 조국 산천·문예출판사)

‘두부 등을 만든다’는 뜻은 위의 세 뜻과 차이가 좀 있지만, 콩을 불리고 갈아서 만든다는 점을 고려하면 어느 정도 관련이 있다고도 보인다. 그래서 남·북 사전에서 네 가지 뜻을 좀 다르게 처리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1∼3번 뜻을 하나의 ‘앗다’에서 갈라진 뜻갈래로 보았다. <조선말대사전>에서는 2∼4번 뜻을 묶어 하나의 ‘앗다’로 보고, 1번 뜻을 별도의 ‘앗다’로 구별하였다.

한편, ‘앗다’의 다섯째 뜻은 ‘품으로 도와준 일을 품으로 갚다’란 뜻으로 “모심기할 때마다 동네 사람들이 품을 앗아 주었다”와 같이 쓴다. ‘품앗이’는 품을 서로 앗아 주는 것에서 온 말이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09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68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383
224 바람의종 2007.03.31 8671
223 풋 / ‘열’(10) ①, ‘열’(10) ② 風文 2020.05.10 2069
222 풍개 바람의종 2008.11.24 10212
221 풍비박산 바람의종 2007.12.23 10257
220 프레임 설정 風文 2022.02.06 2434
219 프로 바람의종 2008.11.22 6024
218 프로듀사 風文 2023.05.30 2127
217 플래카드 바람의종 2009.07.27 8091
216 피난, 피란 바람의종 2009.04.13 10396
215 피난과 피란 바람의종 2008.04.24 10004
214 피동문의 범람 바람의종 2010.07.13 9870
213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737
212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0.03.07 9580
211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2.12.21 24432
210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7.12.23 10335
209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8.08.27 5809
208 피로연 바람의종 2010.07.09 13269
207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10049
206 피죽새 바람의종 2009.06.12 9711
205 핀과 핀트 바람의종 2008.09.25 9057
204 필요한 사람?/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596
203 필자 바람의종 2009.09.24 85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