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8 01:18

옥쌀·강낭쌀

조회 수 883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옥쌀·강낭쌀

북녘말

옥쌀은 “강냉이농마와 강냉이가루, 밀가루를 한데 섞어서 흰쌀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 강냉이농마는 ‘옥수수 녹말가루’의 북녘말이다. 옥쌀은 1981년에 나온 <현대조선말사전>(제2판)에 처음 실렸다. 옥쌀은 1970년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후 사전에 추가된 말로 ‘옥쌀기계·옥쌀공장·옥쌀혁명’ 등이 있다. 북녘에서 옥쌀기계와 옥쌀공장을 만들어 생산량을 늘린 것은 식량난을 해결하려는 노력이라 할 수 있겠다.

강낭쌀·강냉이쌀은 “강낭알을 타개서 겨를 벗기고 만든 쌀”이다. 강낭알은 옥수수 알을 가리키고, ‘타개다’는 “낟알을 망돌(맷돌)로 갈아서 쪼개는 것”이다. 남녘에서는 “콩을 타서 콩국수를 만들다”와 같이 ‘타개다’ 대신 ‘타다’를 쓴다. 강낭쌀은 ‘옥수수쌀’이다.

지금은 음식물 쓰레기가 너무 많아 문제지만, 남녘도 식량난에서 벗어난 지는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불과 삼십 년 전만 해도 보릿고개, 춘궁기가 있었다. 남북 국어사전을 보면, ‘강피쌀·상수리쌀·핍쌀(피쌀)’ 등이 있다. 이제는 곡식으로 여기지 않는 강피·상수리·피의 열매를 식량으로 먹었던 것이다. ‘귀리쌀(귀밀쌀)·기장쌀·녹쌀·메밀쌀·밀쌀·보리쌀·생동쌀·수수쌀·율무쌀·좁쌀’ 들도 있는데, ‘쌀’이라는 말이 붙은 것을 볼 때, 이들을 쌀처럼 중히 여겼음을 알 수 있다.

이제는 건강을 생각해 잡곡밥을 먹고, 잡곡이 쌀보다 비싼 것도 있다. 하지만 세계에는 북녘을 포함한 여러 나라가 식량난에 허덕이고, 식량이 무기가 될 날이 온다는 점도 알아둬야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19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17
3062 “김” 風文 2023.03.06 1753
3061 망신 風文 2023.06.09 1759
3060 김치 담그셨어요? 風文 2024.02.08 1766
3059 청마 / 고명딸 風文 2020.05.23 1773
3058 프로듀사 風文 2023.05.30 1773
3057 빛깔 이름/ 염지 風文 2020.05.18 1775
3056 -시- ① / -시- ② 風文 2020.06.21 1779
3055 ‘통일’의 반대말 風文 2023.01.16 1782
3054 맞춤법·표준어 제정, 국가 독점?…오늘도 ‘손사래’ 風文 2022.12.12 1783
3053 ‘시월’ ‘오뉴월’ 風文 2024.01.20 1785
3052 표준발음, 구명동의 風文 2020.05.08 1787
3051 띄어쓰기 특례 風文 2022.01.11 1787
3050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787
3049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790
3048 와이로 / 5678님 風文 2020.06.05 1792
3047 튀르기예 / 뽁뽁이 風文 2020.05.21 1811
3046 마마잃은중천공? / 비오토프 風文 2020.07.03 1816
3045 갑질 風文 2024.03.27 1821
3044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1848
3043 멀쩡하다 / 내외빈 風文 2020.06.18 1859
3042 돔 / 식해 風文 2020.06.23 1862
3041 풋 / ‘열’(10) ①, ‘열’(10) ② 風文 2020.05.10 18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