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5 01:02

강냉이

조회 수 9482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강냉이

북녘말

강냉이는 남북이 같이 쓰는 말로 북녘말로 보기 어렵다. 하지만 남북에서 미묘한 차이가 있다. 밭에서 나는 열매를 가리킬 때, 남녘에서는 옥수수를 주로 쓴다. 그래서 강냉이는 ‘옥수수 알을 튀겨서 부풀게 만든 것’으로 쓰는 경향이 있다. 강냉이가 본디 자리를 옥수수에 내주고 좀 다른 뜻으로 쓰이는 것이다. ‘옥수수튀김’, ‘강냉이튀김’(북녘말은 ‘강냉이튀기’)이라는 말도 있지만 통상적으로 ‘강냉이’로 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강냉이는 옥수수와 동의어로 보고 있다. 하지만 그 예문을 보면 ‘옥수수튀김’으로 해석해도 무리가 없다.

“바스락바스락 고소한 강냉이를 먹고 싶은 생각에 내 입 안에서는 어느새 군침이 흐르고 있었다.”(최일남·너무 큰 나무)

예문에서 화자가 먹고 싶은 고소한 ‘강냉이’는 ‘옥수수’가 아니라, ‘강냉이튀김’이라고 하겠다. 사전에서 해석에 중의성이 있는 예문을 든 것은 그만큼 ‘옥수수’와 동의어인 ‘강냉이’의 예를 찾기가 어렵다는 점을 보여주는 듯하다.

반면, 북녘에서는 옥수수보다 강냉이를 주로 쓴다. <조선말대사전>에 실린 말은 ‘옥수수떡, 옥수수털, 옥수수과자’가 전부인데, 모두 비문화어로 보고 있다. 강냉이가 붙은 말은 ‘강냉이가루, 강냉이국수, 강냉이과자, 강냉이기름, 강냉이떡, 강냉이수염, 강냉이엿, 강냉이죽, 강냉이지짐’ 등 많이 있다.

강냉이라는 말은 옥수수가 중국 양자강 남쪽의 강남에서 전래했기 때문에 ‘강남이’로 부르다가 변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5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0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985
3128 탕비실 바람의종 2010.07.23 10604
3127 탓과 덕분 바람의종 2010.10.06 9774
3126 타산지석 바람의종 2010.03.10 10588
3125 클래식 바람의종 2010.03.17 12113
3124 큰 소리, 간장하다 風文 2022.10.04 1617
3123 큰 바위 바람의종 2008.02.22 7840
3122 크리스마스나무 바람의종 2008.06.02 10146
3121 크레용, 크레파스 바람의종 2009.03.29 9227
3120 퀘퀘하다, 퀴퀴하다, 쾌쾌하다 바람의종 2012.05.09 34328
3119 쿨 비즈 바람의종 2010.05.07 10729
3118 쿠테타, 앰플, 바리케이트, 카바이드 바람의종 2009.06.11 8364
3117 쿠사리 바람의종 2010.04.26 12038
3116 쿠사리 바람의종 2008.02.19 10952
3115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바람의종 2012.11.06 40776
3114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465
3113 콧방울, 코빼기 바람의종 2009.04.14 11311
3112 코펠 바람의종 2010.03.03 12495
3111 코끼리 바람의종 2008.09.07 7557
3110 켄트지 바람의종 2009.07.23 6531
3109 커피샵 바람의종 2010.10.04 11677
3108 커브길 바람의종 2010.01.19 8359
3107 커닝 바람의종 2009.10.27 79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