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1 02:04

다믈사리·막생

조회 수 8076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다믈사리·막생

사람이름

성종 25년(1494년), 사헌부에서 정호(鄭灝)의 첩인 ‘다믈사리’와 가까이 지냈다며 국문하니 월성군 이철견(李鐵堅)은 마음이 편치 않다며 벼슬자리를 떠나고자 하였다. 월성군은 자신이 다믈사리와 먼저 가까이 지냈고 나중에 정호가 데리고 살았다고 했으나 국문 과정에서 아닌 것으로 드러나 파직되었다.

다믈사리는 ‘다므사리’로도 불렸다. ‘-사리’(沙里)로 끝나는 이름에 눈사리·더부사리·들사리·빙사리·풍사리·험사리 …들이 있다. 중세 말 ‘다므사리’(다믈사리)는 고용살이를 이르는데, 뒷시대로 오면서 드사리(들살이), 더부사리(더부살이)로 바뀌었다. 사람이름에 쓰인 ‘가사리’는 돌고래의 새끼, 죽사리는 죽살이 곧, 생사를 가리킨다. 방언에서는 ‘죽살이(=죽도록) 고생만 했다’로도 쓴다. 간사리·앙사리는 간살스럽다·앙살스럽다는 말에서 왔다.

‘-사리’의 한자에 해당하는 말 ‘생’(生) 또한 이름접미사로 쓰였는데, 갈음생·검생·곰생·귀생·돌생·막생·말생·약생·니생·애생·연생·줌생·효생이 따위가 있다. 이름접미사 ‘-산’은 산봉우리 또는 산다는 뜻으로 쓰이는 듯하다. ‘어렵산이’란 이름에는 ‘어렵게 산 이’라는 ‘뜻맛’이 배어 있다. 가지산·곰산·귀산·금산·길산·긋산·논산·늦산·돌산·막산·말산·멍산·범산·울음산·은산·잣산이 따위 이름이 있다.

‘다믈다’는 ‘입을 다물다’라는 말에 남아 있는데, 합친다는 뜻으로 쓰였다. 고구려 추모왕이 비류국을 차지하고 외친 ‘다믈’(多勿)은 옛 땅을 되찾겠다, 옛 조선 땅을 ‘합치겠다’는 말이었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88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4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459
3084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289
3083 사투리와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7.10.20 10092
3082 신병 바람의종 2007.10.21 7145
3081 경제성 바람의종 2007.10.21 9768
3080 십팔번 바람의종 2007.10.22 7032
3079 외국어와 새말 바람의종 2007.10.22 10201
3078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14
3077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10032
3076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50
3075 촌지 바람의종 2007.10.25 8190
3074 정서적 의미 바람의종 2007.10.25 9804
3073 할증료 바람의종 2007.10.26 7597
3072 사라져가는 언어(1) 바람의종 2007.10.26 6573
3071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156
3070 결초보은 바람의종 2007.10.27 10147
3069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179
3068 금수강산 바람의종 2007.10.28 10508
3067 사전과 방언 바람의종 2007.10.28 6110
3066 금지옥엽 바람의종 2007.10.31 8153
3065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254
3064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305
3063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1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