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8 00:07

소양강·우수주

조회 수 7301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소양강·우수주

땅이름

춘천의 옛이름은 ‘우수주’였다.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우수주’(牛首州)의 ‘수’를 ‘두’(頭)라고도 하였으며, 수차약(首次若)·오근내(烏根乃)도 우수주의 별칭이었음을 기록한 바 있다. ‘우’는 ‘소’이니 ‘우수’는 ‘소ㅁ.ㄹ.’(쇠ㅁ.ㄹ.)로 읽을 수 있으며, ‘수차약’의 ‘약’은 인칭대명사 ‘너’를 뜻하는 말이므로 ‘내’를 뜻하는 표기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는 ‘오근내’의 ‘내’에서도 확인된다.

‘소양강’이란 이름은 <삼국사기>나 <고려사>의 지리지에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한강 지류를 설명한 <용비어천가>에는 “(한강의 한 근원이) 강원도 인제현 이포(伊布)[잇뵈]에서 시작해 춘천부의 소양강을 이루고, 남으로 흘러 경기 가평현에 이르며, 동으로는 안판탄(安板灘)[안반여흘]을 이루고, 양근군 북쪽에서 입석진(立石津)[션돌], 서로는 용진(龍津)이 되는데, 사포(蛇浦)에서 합쳐 광주 경계 도미진(渡迷津)[두미]이 되고, 광진(廣津)[광ㄴ.ㄹ.], 삼전도(三田渡)[삼받개]를 이룬다”고 했다. 이를 볼 때 ‘소양’이라는 이름도 조선 이전부터 일컫던 말임을 알 수 있다.

‘우수주’가 ‘쇠ㅁ.ㄹ.’이듯이, ‘소양강’이 ‘쇠ㄱ.ㄹ.ㅁ’을 뜻하는 말임을 알 수 있는데, 이 때의 ‘쇠’는 ‘동쪽’을 뜻하는 ‘새’에서 비롯된 형태다. 새벽에 밝게 빛나는 별을 ‘샛별’, 동풍을 ‘샛바람’이라 하듯이, ‘새’는 동쪽을 뜻하며 ‘밝음’을 상징한다. 한자 ‘소’(昭)는 ‘밝음’을, ‘양’(陽)은 ‘볕’을 뜻하니 토박이말과 한자말의 대응 관계가 더 잘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4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0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989
3084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289
3083 사투리와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7.10.20 10088
3082 신병 바람의종 2007.10.21 7139
3081 경제성 바람의종 2007.10.21 9760
3080 십팔번 바람의종 2007.10.22 7031
3079 외국어와 새말 바람의종 2007.10.22 10197
3078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14
3077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10019
3076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50
3075 촌지 바람의종 2007.10.25 8182
3074 정서적 의미 바람의종 2007.10.25 9801
3073 할증료 바람의종 2007.10.26 7592
3072 사라져가는 언어(1) 바람의종 2007.10.26 6559
3071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150
3070 결초보은 바람의종 2007.10.27 10146
3069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174
3068 금수강산 바람의종 2007.10.28 10508
3067 사전과 방언 바람의종 2007.10.28 6106
3066 금지옥엽 바람의종 2007.10.31 8153
3065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235
3064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279
3063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1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