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3 12:30

혈구군과 갑비고차

조회 수 8868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혈구군과 갑비고차

땅이름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강화도의 옛이름이 ‘혈구군’(穴口郡)이었으며, 한편으로는 ‘갑비고차’(甲比古次)로 불렸다고 하였다. ‘혈’은 우리말의 ‘구멍’에 해당하는 한자어로 우리의 옛말 ‘구무’와 같은 뜻이며, ‘고차’는 바닷가의 굴곡진 곳을 뜻하는 ‘곶’이므로, ‘혈구’는 ‘구멍처럼 생긴 굴곡진 곳’을 의미한다. <고가연구>에서는 ‘혈’의 옛말인 ‘구무’를 ‘신’을 뜻하는 ‘검’에서 비롯된 말로 풀이한 바 있다. 또 삼국사기 고구려 광개토왕 기록에는 “왕이 백제의 관미성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는데, 이 성은 사면이 고립되어 있으며, 바닷물이 돌아드는 곳”이라고 묘사되어 있는데, 이로 미루어 관미성도 강화의 옛이름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땅이름이 겨레말의 말밑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삶의 양식을 반영한다고 할 때, 땅이름에 스며 있는 신화와 전설을 찾아내는 일도 흥미로운 일이다. 향가 <안민가>에는 “구물 다히 살 손 물생”이라는 구절이 나온다. 이 구절의 ‘구물’을 어떻게 풀이할 것인지는 의견이 다를 수 있으나 ‘구물’이 ‘굴’을 의미하며, 이는 수도승들이 ‘굴’에 은거하며 사는 경우가 많았다는 양주동·지헌영의 해석은 말밑에 담긴 삶의 양식을 반영한 풀이로 볼 수 있다. 또한 <우리말의 상상력>을 지은 정호완도 ‘혈거문화’를 ‘굴살이’로 번역하면서 ‘굴’과 ‘신앙’의 관련성을 풀이한 바 있다.

우리 겨레에게 강화도는 뿌리와 같은 곳이다. ‘갑비고차’, ‘혈구’, ‘해구’, ‘관미’ 등으로 불린 강화의 옛이름에서 바다와 섬의 모양새뿐만 아니라 우리 겨레의 삶의 양식과 신화를 찾아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84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3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350
3369 사리 風磬 2006.12.26 8535
3368 살림 風磬 2006.12.26 6273
3367 삼박하다 風磬 2006.12.26 13599
3366 삼삼하다 風磬 2006.12.29 11156
3365 삿대질 風磬 2006.12.29 6970
3364 샅샅이 風磬 2006.12.29 6454
3363 샌님 風磬 2006.12.29 10614
3362 서낭당 風磬 2006.12.29 7913
3361 서울 風磬 2007.01.19 7425
3360 선비 風磬 2007.01.19 10143
3359 스스럼없다 風磬 2007.01.19 12899
3358 시달리다 風磬 2007.01.19 8639
3357 시답잖다 風磬 2007.01.19 12352
3356 아니꼽다 風磬 2007.01.19 14903
3355 안갚음 風磬 2007.01.19 8835
3354 애물단지 風磬 2007.01.19 8414
3353 애벌빨래 風磬 2007.01.19 10812
3352 억수 風磬 2007.01.19 8714
3351 엔간하다 風磬 2007.01.19 9761
3350 오랑캐 風磬 2007.01.19 9132
3349 오사바사하다 風磬 2007.01.19 141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