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3 12:30

혈구군과 갑비고차

조회 수 8848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혈구군과 갑비고차

땅이름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강화도의 옛이름이 ‘혈구군’(穴口郡)이었으며, 한편으로는 ‘갑비고차’(甲比古次)로 불렸다고 하였다. ‘혈’은 우리말의 ‘구멍’에 해당하는 한자어로 우리의 옛말 ‘구무’와 같은 뜻이며, ‘고차’는 바닷가의 굴곡진 곳을 뜻하는 ‘곶’이므로, ‘혈구’는 ‘구멍처럼 생긴 굴곡진 곳’을 의미한다. <고가연구>에서는 ‘혈’의 옛말인 ‘구무’를 ‘신’을 뜻하는 ‘검’에서 비롯된 말로 풀이한 바 있다. 또 삼국사기 고구려 광개토왕 기록에는 “왕이 백제의 관미성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는데, 이 성은 사면이 고립되어 있으며, 바닷물이 돌아드는 곳”이라고 묘사되어 있는데, 이로 미루어 관미성도 강화의 옛이름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땅이름이 겨레말의 말밑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삶의 양식을 반영한다고 할 때, 땅이름에 스며 있는 신화와 전설을 찾아내는 일도 흥미로운 일이다. 향가 <안민가>에는 “구물 다히 살 손 물생”이라는 구절이 나온다. 이 구절의 ‘구물’을 어떻게 풀이할 것인지는 의견이 다를 수 있으나 ‘구물’이 ‘굴’을 의미하며, 이는 수도승들이 ‘굴’에 은거하며 사는 경우가 많았다는 양주동·지헌영의 해석은 말밑에 담긴 삶의 양식을 반영한 풀이로 볼 수 있다. 또한 <우리말의 상상력>을 지은 정호완도 ‘혈거문화’를 ‘굴살이’로 번역하면서 ‘굴’과 ‘신앙’의 관련성을 풀이한 바 있다.

우리 겨레에게 강화도는 뿌리와 같은 곳이다. ‘갑비고차’, ‘혈구’, ‘해구’, ‘관미’ 등으로 불린 강화의 옛이름에서 바다와 섬의 모양새뿐만 아니라 우리 겨레의 삶의 양식과 신화를 찾아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9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4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481
92 헤라시보리 바람의종 2012.09.21 17438
91 헤로인 / 슈퍼세이브 風文 2020.06.03 1615
90 헤어진 옷 바람의종 2012.05.16 11059
89 헬스 다이어트 바람의종 2009.04.14 7905
88 헷갈리는 맞춤법 風文 2024.01.09 1475
87 헷갈리는 받침 바람의종 2010.08.03 10658
86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171
85 현수막, 펼침막 바람의종 2012.04.19 11616
84 현수막, 횡단막 바람의종 2008.08.08 8306
» 혈구군과 갑비고차 바람의종 2008.06.03 8848
82 혈혈단신 바람의종 2010.07.17 12035
81 혈혈단신 바람의종 2007.12.24 7542
80 혈혈단신,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8.07.02 7755
79 바람의종 2007.09.22 8955
78 형극 바람의종 2007.09.23 12326
77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291
76 형제자매 바람의종 2008.01.26 11314
75 호구 바람의종 2010.08.17 10267
74 호구 바람의종 2007.09.26 11236
73 호구 바람의종 2007.09.28 8265
72 호꼼마씸? file 바람의종 2010.03.07 8538
71 호나우두(Ronaldo)와 호날두(Ronaldo) 바람의종 2010.02.28 125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