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31 15:11

흙성과 가린여흘

조회 수 11004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흙성과 가린여흘

땅이름

용비어천가는 세종 임금이 훈민정음을 창제하면서 새 글자의 실용 가능성을 실험함과 동시에 조선 왕조의 개국을 정당화하고자 정인지·최항 등에게 일러 편찬하도록 한 노래다. 이 노래에는 조선 왕조를 열기까지의 6대조 역사가 기록됐는데, 그 가운데 땅이름과 관련하여 흥미로운 기사가 많이 남아 있다.

제9장은 “하늘의 뜻을 받들어 도적을 토벌하실새 사방의 제후들이 모이더니 성스러운 덕화가 오래되어 서방 오랑캐도 또 모이니, 의를 내세워 군사를 거느릴새 천리 인민이 모이더니 성스러운 덕화가 기프셔서 북쪽 오랑캐들이 또 모이니”라는 노래는 태조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과 관련된 노래다.

이 노래에는 위화도에서 돌아오는 군대가 지나간 땅이름이 나타나는데, 회군하는 군사들이 안주, 자주, 이성(흙성), 평양, 중화군, 기탄(가린여흘)에 이르기까지 백성들의 환영을 받으며 매우 빠른 속도로 진군하였다고 한다. 이 기록에서 이성(泥城)은 ‘흙성’, 기탄(岐灘)은 ‘가린여흘’이라는 한글로 표기하였다. 이처럼 용비어천가 곳곳에는 토박이말과 한자어의 대응관계를 한글을 사용하여 나타낸 경우가 많다.

‘가린여흘’을 ‘기탄’으로 옮긴 것은 ‘가린’이 ‘가르다’에 해당하는 ‘가ㄹㆍ다’에서 비롯된 말이므로 둘 이상의 물줄기가 합쳐지는 곳임을 짐작게 한다. 이처럼 ‘가린’이 들어가는 땅이름은 ‘가늘다’는 뜻을 지닌 경우와 ‘가르다’의 뜻을 지닌 경우가 있다. ‘강’을 뜻하는 ‘가ㄹㆍㅁ’이 ‘가르다’와 관련이 있음은 널리 알려진 것과 같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482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13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6453
2488 참꽃마리 바람의종 2008.05.29 5911
2487 자장면 곱빼기 바람의종 2008.05.29 7887
»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004
2485 차별② 바람의종 2008.05.31 6302
2484 임산부/임신부, 홑몸/홀몸 바람의종 2008.05.31 9674
2483 크리스마스나무 바람의종 2008.06.02 10089
2482 처녀치마 바람의종 2008.06.02 6804
2481 돌나물 바람의종 2008.06.02 7406
2480 혈구군과 갑비고차 바람의종 2008.06.03 8839
2479 새해 인사 바람의종 2008.06.03 6544
2478 안갚음 / 앙갚음 바람의종 2008.06.03 7376
2477 돈자리·행표 바람의종 2008.06.04 6733
2476 동자꽃 바람의종 2008.06.04 6720
2475 금슬/금실, 사주단주/사주단자 바람의종 2008.06.04 10274
2474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582
2473 글틀 바람의종 2008.06.05 6190
2472 끊을래야/끊으려야, 뗄래야/떼려야, 먹을래야/먹으려야 바람의종 2008.06.05 9946
2471 사탕·기름사탕 바람의종 2008.06.07 8711
2470 도리장이·물자이 바람의종 2008.06.07 7411
2469 뒤처리 / 뒷처리 바람의종 2008.06.07 20357
2468 얼레지 바람의종 2008.06.08 6001
2467 소양강·우수주 바람의종 2008.06.08 72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