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3 02:11

짚신나물

조회 수 7026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짚신나물

풀꽃이름

얼마 전 세계적인 잡지 <내셔널 지오그래픽>에서 ‘원이 엄마’의 한글 편지와 짚신 사진을 소개했다. 1586년 지금의 안동 지역에 살던 아이밴 과부가 자기 머리카락과 삼 줄기를 한데 삼은 신발을 편지와 함께 남편 무덤에 묻었는데, 1998년 택지를 개발하면서 발견된 것을 소개한 기사다. 쉽게 마음을 바꾸는 요즘 사람들에게 보여준 영원한 사랑의 진실이다.

풀꽃이름 중에 ‘짚신나물’이 있다. 꽃받침에 있는 갈고리 같은 가시털이 물체에 잘 들러붙어서 생긴 이름인데, 신기하게도 사람 다니는 길가나 풀숲 쪽으로 많이 난다고 한다. 곧 짚신이나 버선에 잘 달라붙고, 어린 순을 익혀 무쳐 먹기에 ‘나물’이 붙었다. 보기에 따라서는 넓적한 잎 모양도 짚신과 닮았다. 또한 사람과 짐승에 붙어서 번식하는 것도 특별하다. 꽃말이 ‘임 따라 천릿길’이라니 고개를 끄덕일 만하다.
 




같은 모양이지만 볏짚으로 삼은 신발은 ‘짚신’이고, 삼·모시 등으로 삼은 신발은 ‘미투리’라고 하니까, ‘원이 엄마의 미투리’가 정확한 표현이다. 큰 은혜(사랑)를 갚는 데 ‘머리카락으로 신을 삼아 바친다’는 옛말의 정확한 물증을 본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8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73
3106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584
3105 참고와 참조 風文 2023.07.09 1587
3104 독불장군, 만인의 ‘씨’ 風文 2022.11.10 1590
3103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風文 2023.10.13 1592
3102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597
3101 공화 정신 風文 2022.01.11 1597
3100 납작하다, 국가 사전을 다시? 주인장 2022.10.20 1598
3099 질척거리다, 마약 김밥 風文 2022.12.01 1600
3098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600
3097 웃어른/ 윗집/ 위층 風文 2024.03.26 1602
3096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603
3095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610
3094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611
3093 우리나라 風文 2023.06.21 1612
3092 8월의 크리스마스 / 땅꺼짐 風文 2020.06.06 1613
3091 열쇳말, 다섯 살까지 風文 2022.11.22 1613
3090 좋음과 나쁨, 제2외국어 교육 風文 2022.07.08 1617
3089 국어 영역 / 애정 행각 風文 2020.06.15 1632
3088 ‘외국어’라는 외부, ‘영어’라는 내부 風文 2022.11.28 1637
3087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風文 2024.02.17 1639
3086 말 많은 거짓말쟁이 챗GPT, 침묵의 의미를 알까 風文 2023.06.14 1646
3085 바람을 피다? 風文 2024.01.20 16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