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3 17:04

실레마을과 시루

조회 수 7552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실레마을과 시루

땅이름

김유정이 태어난 마을 이름은 실레마을이다. 한자어로는 ‘증리’(甑里)라 하니 이는 곧 떡을 찌는 ‘시루’를 뜻한다. 김유정은 “춘천읍에서 한 이십리 가량 산을 끼고 꼬불꼬불 돌아 들어가면 내닫는 조그만 마을”로 “앞뒤 좌우에 굵직굵직한 산들이 빽 둘러섰고 그 속에 묻힌 아득한 마을로 그 산에 묻힌 모양이 마치 옴팍한 떡시루 같다 하여 동명을 실레라 부른다”라고 묘사하였다.

땅이름 가운데는 땅의 모양에서 생겨난 것들이 많다. 실레마을이 시루를 닮은 데서 비롯된 것처럼 시루를 닮은 산을 ‘시루뫼’ 또는 ‘증봉’, ‘증산’이라고 부른다. ‘시루봉’은 분지를 이룬 마을에서는 비교적 자주 발견되며, 시루의 방언인 ‘시리’, ‘실리’, ‘실기’, ‘슬구’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시루의 겉모습이 둥긋한 데 비해 시루의 안쪽은 옴팍하게 파여 있으니, 김유정의 고향 마을처럼 산으로 둘러싸인 마을을 ‘실레’라 하는 것도 자연스럽다.

“집이라야 대개 쓰러질 듯한 헌 초가요, 그나마도 오십 호밖에 못 되는 빈약한 촌” 마을인 실레마을에서 “주위가 이렇게 시적이니만치 그들의 생활도 어디인가 시적이고 어수룩하고 꾸밈이 없다”는 김유정의 <봄봄> 마을.

땅이름은 사람이 붙인 것이지만, 사람들은 다시 그 이름을 닮아가며 살아간다. 생강나무를 동백꽃이라 하고, 지주와 빚쟁이들이 무서워 제 논의 벼를 수확하지 못한 채 몰래 베어 먹어야 하는 동생을 위해 밤새 도둑을 지키는 형을 ‘만무방’(염치없이 막돼먹은 사람)이라 부르는 순박함이 실레마을 사람들의 이야기였음을 김유정의 작품에서 읽어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98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64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1422
330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212
329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211
328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211
327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209
326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209
325 열쇳말, 다섯 살까지 風文 2022.11.22 1205
324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202
323 너무 風文 2023.04.24 1200
322 우리나라 風文 2023.06.21 1200
321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196
320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196
319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193
318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188
317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181
316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178
315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175
314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174
313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173
312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169
311 웰다잉 -> 품위사 風文 2023.09.02 1155
310 환멸은 나의 힘 / 영어는 멋있다? 風文 2022.10.28 1151
309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1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6 Next
/ 156